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스페셜
"
다만
"(으)로 총 2,114건 검색되었습니다.
3km이상 떨어진 초소형드론, 찰나에 알아채는 국산 레이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지질학및원격탐사레터스’ 6월 22일자에 발표했다.
다만
현재는 원거리 탐지 레이더 기술과 드론 신호 AI 식별 시스템이 통합되지 않은 상태다. 김 교수는 “원천기술이 개발된 상태로 올해 하반기에 두 기술을 결합해 실제로 수십 분의 1초 이내에 탐지된 드론을 새와 ... ...
'오늘은 몇시쯤부터 아프려나'…통증 바이오리듬 예측 모델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2
예를 들면 가장 적절한 시간에 진통제를 먹게해 통증을 낮추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만
통증은 생리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개인에 따라 세기나 패턴이 조금씩 달라진다. 크로델 박사후연구원은 "추후 수면 부족이나 시차로 인한 피로 등 통증 세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넣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
2019.07.12
아마 세계 최고 수준일 것이다. 다른 말로 하면 이른바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이다.
다만
그것이 전부이기 때문에 아직 노벨 과학상 수상자를 내지 못했다. 선진국의 접근법에서는 체계 밖에 있는 요소들에 더 관심이 많다. 궁극적으로는 기존의 체계를 넓혀 새로운 체계와 규칙을 만드는 것, 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숲을 늘려야 지구온난화 속도 늦춘다
2019.07.09
우리나라 태양광 발전이 문제가 있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이 정도로 심각하지는 몰랐다.
다만
청와대 관련 건은 지엽적인 문제라 이 자리에서 언급하지 않겠다. 2000년 무렵만 해도 태양광 발전은 ‘경제성은 떨어지지만 환경을 위해’ 추진해야 하는 거라고 알고 있었다. 그런데 패널 생산비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같은 질량의 물이라도 높은 온도에서 대체로 부피가 커진다.
다만
물의 부피가 최소가 될 때는 섭씨 0도가 아니고 4도이다. 부피가 최소이므로 밀도(=질량/부피)는 최대이다. 1889년 제1차 도량형총회에서는 미터와 마찬가지로 금속덩어리를 하나 만들어서 1킬로그램으로 ... ...
스페이스X '팰컨 헤비' 두번째 상업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실은 우주장 위성 등 우주탑재체 24기를 세 궤도에 나눠 올리는 복잡한 임무를 수행했다.
다만
팰컨 헤비를 구성하는 재사용 로켓 3기 중 2기만 회수에 성공했다. NASA는 미국 동부시간으로 11일 오전 2시 30분(한국시간 오후 3시 30분) 스페이스X의 대형 우주발사체 팰컨 헤비가 미국 플로리다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따라서 87%는 온전하다) 분해력이 강한 14명의 평균은 96%에 이르렀다(불과 4%만 남았다).
다만
디곡신 분해에는 섭취한 음식의 단백질 함량 등 다른 요소도 관여하기 때문에 실제 개인차는 이 정도로 극단적이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항암제 ‘이리노테칸’은 간과 장내미생물의 불협화음을 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P. armeniaca), 벚나무(버찌(cherry))(P. serrulata), 앵두나무(P. tomentosa)의 내과피 안이 다 그렇다.
다만
복숭아를 빼면 다들 내과피가 단단히 붙어있어 쪼개질 걱정은 안 해도 된다. 매실청을 담글 때 매실을 통째로 써도 되는 이유다. 위의 벚나무속 식물들은 열매에서 중과피(과육)를 먹지만 특이하게 씨 ... ...
'스마트시티는 미래 도시의 대안인가' 스마트시티MP·공학계 원로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19.06.05
지형을 보존하면서 약간의 고밀도로 개발하는 방안을 채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초고층은 에너지 효율 면에서 자립이 어렵고 경관을 해쳐 장기적으로 상황을 봐서 추진할 계획을 밝혔다. 정 교수는 “스마트시티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 가운데 운영 방법도 중요하다”며 “과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
2019.06.04
심지어 2012년에는 지도교수인 챈 교수조차 자신들이 틀렸다고 선언했기 때문이다.
다만
김 교수는 여전히 자신의 실험이 맞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다른 실험을 통해 초고체가 존재한다는 논문 세 편이 발표됐다. 학술지 ‘네이처’ 5월 23일자에는 이에 대한 해설이 실렸는데 초고체의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