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3,168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대폰에 침투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111
바이러스 제작자들의 모든 공격을 막아내는 일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한
편
으로 지금까지 발견된 바이러스 중 진단과 치료가 불가능한 것은 단 한종류도 없었다. 따라서 앞으로도 백신 프로그램 개발자와 바이러스 제작자의 보이지 않는 싸움은 계속될 것이다.SF영화를 보면 컴퓨터 ... ...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
과학동아
l
200111
단기기억에 관한 과학적 오류가 등장한다. ‘한니발’은 ‘양들의 침묵’ 속
편
으로 정신과 의사이자 식인습성을 가진 연쇄 살인마 한니발 렉터가 FBI 요원 스털링과 맞서 두뇌싸움을 벌이는 내용이다.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는 한니발 렉터가 스털링의 동료 FBI 요원을 의자에 묶은 다음 두개골을 깨서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
과학동아
l
200111
우리가 지금 지붕 없는 뼈대만 보는 이유다.아치 구조로 넓은 공간 얻은 로마 건축한
편
그리스 사람들에게 넓은 실내공간은 절실하게 필요한 것이 아니었다. 상업이나 집회 등 그들의 모든 행위는 옥외, 아고라(광장)와 아크로폴리스에서 이뤄졌으며 신전은 소수의 성직자들이나 출입하는 신의 ... ...
최고의 정보고속도로 펼치는 통신망 구현
과학동아
l
200111
구현된 시스템을 사용하면 약 1천5백만명이 동시에 전화통화를 하거나, 영화 1백30여
편
을 서울에서 대구까지 단 1초 내에 전송할 수 있다.초고층 전화국 필요없다장거리 통신시스템뿐만 아니라 여러 도시를 서로 연결해주는 통신망도 연구수행과제 중 하나다. 여러 도시를 연결하는 통신망에서는 각 ... ...
항암제 선두주자로 나선 제약계의 최고참 '동화약품'
과학동아
l
200110
3호인 밀리칸주의 판매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획기적인 간암치료제가 나오기까지 한
편
의 드라마를 감상해보자.동화약품. TV 광고를 통해 몇번 들어본 듯한 이름인데, 어떤 회사인지 잘 기억나지 않는다. 힌트를 하나 주자. 부채표와 활명수와 관련 있다면? “아!”라는 감탄사와 함께 머릿속을 ... ...
① 철통 경계 미국 본토가 뚫린 이유
과학동아
l
200110
후 즉각적인 출격 태세를 갖춘 전투기의 수가 대폭 줄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한
편
미국 펜타곤 건물의 경우 국내선 전용인 로널드 레이건 공항이 바로 인근에 있어 비행금지구역이 좁았기 때문에 방어하기 쉽지 않았을 것으로 추측된다.만일 전투기가 제때에 출격했더라도, 자국민을 수십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
과학동아
l
200110
나노재료를 조작하는 도구로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나노튜브 끝의 화학성질 변경한
편
본격적인 나노 디바이스 제작에는 기존의 SPM의 기능을 좀더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기존의 SPM 탐침을 개량함으로써 이뤄진다.한 예로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버클리분교의 기계공학과에서는 AFM ... ...
진공청소기 발명 1백년
과학동아
l
200110
로봇이 컴퓨터와 무선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것이다. 8백달러(1백여만원)로 비싼
편
이다. 영국 다이슨 사가 만든 청소로봇 ‘DC06’은 현재 팔리고 있는 청소로봇 중 가장 성능이 뛰어나다. 청소를 했는지 안했는지 기억할 수 있어 똑같은 장소의 청소를 시키면 “이미 했습니다”라고 말한다. ... ...
10월 8일 새벽 토성이 달 뒤로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110
알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 토성이 달에 붙고 어느 순간 한줄기 빛을 남기고 달 뒤
편
으로 사라진다.쌍안경으로 보더라도 배율이 낮아서 토성이 별과 그리 다르게 보이지 않는다. 토성식을 제대로 관측하기 위해서는 역시 망원경이 필요하다. 대개 60mm 굴절망원경 같은 소형망원경이어도 토성의 테는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
과학동아
l
200110
일명 ‘나노펜’ 기술(dip-pen nanolithography). 오늘날 볼펜과 같이 다양한 필기구가 보
편
화되기 전에 사람들은 잉크통에 찍어 쓰던 습자연습용 펜을 사용했다. 나노펜 기술은 이와 비슷하다.나노펜 기술은 AFM 탐침을 펜으로 삼아, 화학이나 생화학물질 용액 잉크를 찍어서, 고체표면에 글씨를 쓰거나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