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불로 출동한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위험한 일인 만큼 긴장을 늦추지 않고 평소에 훈련도 자주 해요. 한치 앞도 안 보이는 곳에서 고립되지 않도록 눈 감고 호스를 따라가는 건 기본이지요. 불 속에선 장비에만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틈틈이 장비를 점검해요.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대원들이 현장에서 20분 이상 가만히 있으면 울리는 ... ...
- [놀이보고서] 놀이 공간이 변신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좋은 놀이 공간이란 무엇일까요? 해석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창의적으로 놀 수 있는 곳이요. 미끄럼틀만 있으면 미끄럼틀만 타고, 철봉만 있으면 철봉에 매달리거나 오르기만 하잖아요. 숨바꼭질과 같은 놀이는 물론, 기어오르고 대화도 나누기 좋은 공간을 만들고 싶답니다 ... ...
- [통합과학교과서] 토끼의 고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 토끼의 문제는 늘 어두운 곳에 숨어있는 버릇이었어요. 추운 겨울 동안 어두운 곳에 숨어 에너지를 아끼다보니 다시 잠이 많아진 거예요. 토끼는 꿀록의 조언을 듣고 자신의 마음가짐이 문제가 아니란 걸 깨달아 다행이라며 꿀록에게 연신 고맙다고 말했지요. “정말 고마워요, 꿀록 탐정님! ...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도전을 시작했다. 국립인간유전체연구소는 1990년 인간 게놈 프로젝트(HGP) 를 처음 시작한 곳으로 올해 20주년을 맞는다. 이 연구원은 유전체 분석을 위한 고성능 슈퍼컴퓨터를 필요하면 언제든지 쓸 수 있다는 것을 연구소의 가장 큰 장점으로 꼽았다. 그에게 지치지 않고 계속해서 새로운 도전을 ... ...
- 진화학자가 번역한 ‘종의 기원’ 자연 선택 이론은 왜 ‘혁명’이 됐을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즉, 다양성 자체가 특출한 공간은 아니었다. 대신, 다양성의 ‘원인’이 흘깃 보이는 곳이었다. 예컨대 거대 거북의 등껍질 형태는 맨눈으로도 구별이 가능할 정도로 섬마다 서로 달랐다. 또한 전체적으로는 비슷하지만 부리 모양이 조금씩 다른 새들이 섬 주위에 여기저기 서식하고 있었다. 그는 ... ...
-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있었다. 고흥이라는 지명의 의미가 높을 ‘고(高)’에 흥할 ‘흥(興)’, 즉 ‘높은 곳에서 흥한다’는 뜻이므로 고흥에서 하늘 높이 로켓을 쏘면 반드시 성공한다는 게 아닌가. 꿈보다 해몽이라고. 과학적인 설명은 아니었지만 10년 넘게 최적의 발사장을 찾아 전국을 헤맨 필자로서는 듣기에 ... ...
- 산불이 지나간 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어린 참나무가 보이지 않았지만 뜻하지 않게 생장할 기회를 얻은 거죠. 아마 6년 후엔 이곳의 토양과 기후에 잘 적응한 개체와 그렇지 못한 개체로 나뉠 거예요. 적응하지 못한 나무를 솎아내 다른 나무들을 잘 자라게 하는 것도 중요하지요 ... ...
- [출동! 기자단] 찢고 붙이고, 이래도 예술?! 현대어린이책미술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00권이 넘는 그림책이 모여있는 작은 도서관이에요.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어디든 원하는 곳에 앉아 그림책을 읽을 수 있지요.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은 열린 서재에서 오늘의 일정을 정리했어요. 박소은 기자는 “오늘 본 작품 중에서는 손과 발의 모양으로 활기찬 움직임을 재미있게 표현한 ... ...
- [과학뉴스] 외계 전파 위치, ‘원샷 원킬’로 확인과학동아 l2019년 09호
- 180924’는 지구로부터 약 41억 광년 떨어진 대형 타원은하 중심에서 약 1만3000광년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으며, 위치 확인에 성공한 건 2012년 포착된 ‘FRB 121102’에 이어 두 번째다. 특히 단 한 차례 신호만으로 위치 확인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8월 ... ...
- [과학뉴스] 구글 딥마인드, 의사보다 빨리 신장질환 진단하는 AI 개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AI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7월 31일자에 발표했다. 이 AI는 미국 보훈병원 130곳에서 치료를 받은 18~90세 환자 70만여 명의 63억5000만여 개 증상을 담은 데이터를 학습했다. 연구팀은 이 AI를 이용해 급성 신장 손상 환자를 확진 48시간 전에 55.8%까지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투석 치료가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