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청설모도 이웃과 사이좋게 지낼수록 오래 산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청설모들이 같은 이웃과 공존하면서 서로의 영역을 인정하게 돼, 영역 다툼을 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짝짓기나 먹이 수집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시라쿠사 연구원은 “청설모가 이웃과 사이좋게 지내며 생존확률을 높이는 모습은 끊임없이 경쟁하는 인간에게도 교훈을 준다”고 ... ...
- [과학뉴스] 브레이크댄스 추는 문어 로봇은 처음이지?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마치 걷는 것처럼 보인다. 같은 팀이 2019년 초 발표한 소프트 로봇은 한 발을 디디는 데 12시간이 걸려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번에 개발한 소프트 로봇은 자기장으로 움직임을 조정하는 방식을 도입해 1초에 한 걸음씩 움직인다. 가벼운 물체를 옮겨 원하는 자리에 내려놓을 수도 있다. ...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빠르게 생체 내 분자를 탐구할 수 있는 훌륭한 성능을 갖춘 AI들이 속속 등장할 것이다.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는 CASP14 학술대회에서 “향후 디지털 가상 세포를 구축하고자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과학소설(SF) 같은 일이 진짜로 실현될 날을 기대해 본다 ... ...
- [신 기후체제] 기후위기 극복 나선 ‘쿨한’ 기업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지 오래다. 2007년 글로벌 기업 중 가장 빨리 탄소중립을 선언한 구글은 2030년까지 모든 데이터센터와 사무실을 온실가스를 만들지 않는 에너지로 대체할 예정이다. 아마존은 204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하며 배달차량을 전부 전기차로 바꾸겠다고 밝혔고, 애플도 생산하는 제품의 탄소배출량을 75% ... ...
- 44년 만에 열린 달 광산... 재개장하는 이유는 화성과학동아 l2021년 01호
- 25년 달에 기지를 건설하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들 기관은 화성에 우주인을 보낼 계획인데, 달기지는 이를 위한 전초기지 성격을 띤다. 화성에 사람을 보내기 이전 우주 환경에서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시험하기 위한 최적의 실험실이라는 것이다.월석을 이용하면 이런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압전 효과와 정전기의 발생 원리인 마찰대전 효과를 이용한 방식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마찰대전 방식은 압전 방식보다 큰 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피부에 접촉하면 정전기가 발생하는 등 불편함이 있다. 이 교수는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재료 ... ...
- [이달의 책] 당신의 표정을 진화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다윈은 책의 곳곳에 그림을 넣어 글로 표현하기 힘든 표정이나 인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했다. 그 덕분에 생물학이나 진화학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일반인도 술술 읽을 수 있는 대중서가 탄생했다. 1986년 4월 26일 오후 1시 24분. 우크라이나 북서부의 원자력 발전소가 폭발했다. 곧바로 원자로는 ... ...
- [특집] 각 분야 최고의 수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생겼어요. 또 현장에서 찾아내는 DNA에는 염기라는 중요한 화학물질이 있는데요, 바로 아데닌(A), 구아닌(G), 시토신(C), 티민(T)이라는 4가지 물질입니다. 요트의 속도에 기준이 되는 숫자는 600이죠. 유재훈 목포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교수(전 요트선수)600초는 배가 빠른지, 느린지 ... ...
- [AI 수학 특집 1탄] 취향저녁 AI의 비결은? 벡터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필요한 순간Part2. [특집] 취향저격수가 되는 첫걸음 ‘벡터’ ★ 도움박상준(누아 데이터팀 개발자), 이상구(성균관대학교 수학과 교수), 최재식(KAIST AI대학원 교수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을 배울 ‘권리’를 포기하지 마세요!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코딩을 배웠습니다.그런데 코딩의 기본은 수학이었어요. 학창 시절 수학을 어려워했는데 전문성을 기르기 위해 꼭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니까 재미있어지더라고요. 기자 : 수학을 잘한다는 것은 무엇일까요?남호성 교수 : 한국에선 대부분 수학 문제를 잘 풀면 수학을 잘한다고 말합니다. 많은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