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지구
월드
천하
영역
전세계
world
d라이브러리
"
세계
"(으)로 총 1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 이슈 TOP 5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미국은 7월 30일 ‘마스2020’을 각각 발사해 그야말로 화성 탐사 러시를 이뤘다. 5월에는
세계
최초로 민간 유인 우주 탐사가 진행됐다.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제작한 유인우주선 ‘크루 드래건’을 타고 지구 밖으로 나간 우주비행사 2명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64일 만인 8월에 ... ...
[이달의 책] 양자 물질? 그깟 거 내가 설명해 주지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연구 업적을 정확히 이해하는 이는 많지 않았겠지만 말이다.이처럼 보이지 않는 물리
세계
를 전문가가 아닌 대중에게 설명하는 데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이해가 쉽도록 비유를 하고자 할 땐 치밀해야 한다. 자칫 섣부른 비유가 오해를 불러오기 쉽다. 굉장히 어려운 작업이다.그래서 현대물리학의 ... ...
[특집] 직접 만들면 전율! 미궁 게임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뭐야. 그래서 심혈을 기울여 미궁 게임을 제작했어. 일명 ‘폴리매스 미궁!’ 내가 인간
세계
에 온 이상 폴리매스 운명은 내 몫이니까 말이야.12월 16일 공개할 미궁 게임을 살짝 공개하자면 두 명의 주인공이 의문의 사건도 해결하고, 귀신 나올 것 같은 오싹한 성의 비밀도 밝혀내지. 단 폴리매스 ... ...
[기획] 놓치고 가면 섭섭한 2020 수학 이슈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드립니다. 주인공은 모치즈키 신이치 일본 교토대 교수입니다. 모치즈키 교수는 2012년
세계
적인 난제인 ‘ABC추측’에 대한 증명을 논문으로 작성했는데, 무려 500쪽이 넘는 길고 복잡한 내용 때문에 아직도 검증을 받지 못했습니다. 즉 해당 분야의 어떤 수학자도 이 논문이 맞다, 또는 오류가 없다고 ... ...
피타고라스와 이효리의 공통점은? 피타고라스 식단!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말이 없어 채식을 ‘피타고라스 식단’이라고 불렀답니다. 그러면 채식의
세계
적인 동향과 어떤 사람들이 어떤 이유로 채식을 하는지 등을 다음 쪽에서 인포그래픽으로 살펴볼까요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핵융합 상용화 기술을 집중적으로 살펴봤습니다. 먼저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자랑하는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KSTAR·케이스타)가 있는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 찾아가 1억℃의 플라스마를 생성하는 뜨거운 연구 현장을 발로 뛰며 취재했습니다. 높이가 10m나 되는 ... ...
[화보] 이상하고 아름다운 작은
세계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현미경은 미지의 문을 여는 열쇠다. 그곳에는 예상치 못한 아름다움과 과학적 발견이 있다. 올해로 46회를 맞이한 ‘니콘 스몰 월드(Nikon Small World)’ 광학현미경 사 ... 출품한 현미경 사진 2000여 점이 모였고, 그중 최고의 20점이 선정됐다. 이상하고 아름다운 ‘작은
세계
’로 함께 들어가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이어지고 있다. 2019년 ‘한라산 구상나무 보전 전략’ 마련을 위한 심포지엄에서 제주
세계
유산본부는 2006년 738.3㏊(헥타르·1ha는 1만m2)였던 한라산 구상나무숲 면적이 2015년 626㏊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또 국립공원연구원은 2018년 기준 지리산의 경우, 반야봉 일대 1㎢에 서식하던 구상나무 1만 5000여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시속 약 1440만km 속도로 가속해 플라스마의 온도를 높인다. KSTAR는 이 방식으로 올해 3월
세계
최초로 1억℃의 플라스마를 8초간 유지하는 데 성공해 최장운전기록을 달성했다. 최적의 플라스마 운전조건을 찾아서“KSTAR에서 플라스마를 만들고 운전할 때 이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작업은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원래 텔로머레이스를 사용하던 생물이 알트로 텔로미어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를 2015년에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doi: 10.1038/ncomms9189 텔로미어가 기존의 예상보다 훨씬 더 유연하게 스스로를 늘리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구조라는 사실이 또 한 번 증명된 셈이다.DNA 복제 스트레스가 알트를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