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논리력, 사고력, 인내심을 높게 쳐주는 분위기가 점점 퍼지고 있어요. 수리생물학자도 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시스템을 다루는 사람이잖아요? 수리생물학자 중에는 금융회사나 구글, 페이스북 같은 회사에서 일하며 그 능력을 펼치는 사람도 있어요. 융합학문을 잘 알아야 하는 과학정책전문가 로 ... ...
- 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있나.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은 어디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바로 ‘표준모형’이다. 세상의 근원과 작동 원리에 대해 인류가 지금껏 깨달은 모든 것을 담은, 가장 포괄적이고 상세한 이론이다. 외계 지적생명체가 존재한다면, 그들에게 건네 줄 단 하나의 이론도 표준모형일 가능성이 높다.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있다”고 말했다.이 모든 것이 입자물리학, 좁게 말하면 표준모형 연구에서 비롯됐다. ‘세상 만물은 무엇으로 이뤄져 있는가’를 묻고, 물질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 개발한 기술이 의도치 않게 우리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이다. 어쩌면 인류의 중요한 과학적 발전은, 진보 그 ... ...
- Part5.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것”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설명할 수 있을까.“저는 모든 것의 이론이라는 표현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마치 세상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물리법칙이 있다는 것처럼 들리거든요. 난기류 같은 기상현상이나 생물학적인 현상, 심지어 우리의 일상사까지도요. 그 대신 저는 ‘최종 이론(Final Theory)’이라는 표현을 즐겨 씁니다. ... ...
- [Tech & Fun]광물이야기11 ‘생얼’이 더 아름다운 광물 형석(Fluorite)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런 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리엠바스마크 형석은 뒤늦게 자신의 아름다움을 세상에 알리게 됐다.지구를 한 바퀴 돌아 나의 손으로수집의 결정적 요소는 인연이다. 공산품이 아닌, 자연의 예술품인 광물은 특정한 시간, 바로 그 장소에서 수집 대상물과 마주쳐야 손에 넣을 수 있는 기회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기계가 사람에게 말을 건네는 세상!로봇을 만들기 위해선 어떤 것들이 필요할까요?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 로봇의 몸체 등으로 이루어진 하드웨어와 로봇의 움직임 ... 관심을 가져 보세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해 사람이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 ...
- [특별 인터뷰]미생물 영재, 윤관우 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만난 세상“현미경을 처음 만나게 된 건 7살 때였어요. 집으로 찾아오는 놀이 선생님이 선물해 주신 작은 현미경이 무척 신기해서 가지고 놀았지요. 그러다 우연히 도서관에서 빌려 본 현미경 가이드북을 읽고 현미경에 푹 빠지게 됐답니다.”그 뒤로 윤관우 기자는 주변의 생물과 온갖 사물들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입자의 발견으로 표준모형은 완성될 수 있었어요. 이로써 인간이 2000년 넘게 품어온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질문에 대한 답을 할 수 있게 됐지요. 하지만 표준모형은 아직도 완벽한 답을 내놓진 못하고 있어요. 힉스의 발견은 표준모형의 1차적인 완성이자 우주의 비밀을 풀기 위한 또 ... ...
- 진정한 몬스터가 되고 싶나요? 몬스터호텔2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결혼하게돼.그 사이에서 사랑스러운 ‘데니스’가 태어나면서 마침내 몬스터와 인간 세상에도 평화가 찾아왔지. 그런데 혼혈뱀파이어 데니스에게서는 드라큘라의 카리스마는 커녕몬스터와 닮은 구석이라고는 하나도 찾아볼 수가 없어.마음이 조급해진 할아버지 드락은 데니스를 인간이 아닌 ... ...
- 수증기로 슝~! 꼬마 증기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수증기가 뭉쳐져서 생긴 거란다. 지금으로부터 약 200년 전, 영국에서 엄청난 기계가 세상에 공개됐어. 이 기계는 당시 인류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인 시속 24km 이상으로 달릴 수 있었지. 바로 공중으로 뜨거운 연기를 뿜으며 철로 위를 달리는 증기기관차야.증기기관차에서 우리 몸으로 치자면 심장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