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만만치 않다. 동물 도감 형태를 띤 이 책은 원제목 ‘
인류
이후(After man)’가 말해 주듯,
인류
가 완전히 멸망한 5000만 년 뒤부터 1억 년 뒤까지의 동물을 상상한다. 이 때 전범은 슈타이너 교수의 상상력이다. 해부학적 지식과 생태학적 지식, 그리고 미래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바탕으로 창조했기 ... ...
“수학과 글쓰기 중요해”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우리 학교가 추구하는 인재는 ‘바른 품성과 창의적 사고력을 지닌 과학 인재’다.
인류
사회에 공헌할 글로벌 리더로 키우려 한다. 수학, 과학의 수준높은 능력을 바탕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고 꿈을 실현할 수 있는 끈기와 열정이 있어야 한다. 이와 함께 바른 품성이 중요하다. 그동안에는 ... ...
Facebook, for social lives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메시지를 보내며 14만 개의 사진을 덧붙이고 7만 개의 웹페이지를 링크한다.저커버그는
인류
의 12분의 1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했고, 미국의 2배 가량 되는 사회적 실체를 창조한 것이다. 만일 페이스북이 나라였다면 중국과 인도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국가가 될 것이다.저커버그는 다음과 ... ...
기호를 알면 도서관 책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숫자는 지구상의 모든 자료를 0에서 9까지 10개의 ‘주류’로 나눈 것이다. 이들은
인류
의 역사와 비슷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000은 태초의 인간과 자연이 혼돈에서 출발한다는 의미에서 특정 학문이나 주제에 속하지 않는 분야를 모았다. 100은 혼돈에서 질서를 찾기 위한 이성의 노력을 담은 ... ...
Intro. 지구 리모델링하는 슈퍼아이디어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있기 때문에 어둡지 않은 미래, 근사한 21세기를 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인류
에게 가장 큰 위협은 멈추지 않고 뜨거워지는 지구다. 기후전문가들은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1990년 수준의 절반으로 내려가지 않으면 이번 세기에 평균기온이 2℃ 오를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영국 ... ...
이동통신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해외 진출도 수월하다. 취재 한마디 서울대 전기공학부 2학년에 재학 중이다.
인류
의 삶에 변화를 가져오고 새로운 문화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다면 이동통신공학을 공부해볼 것을 권한다. ... ...
화학이 사라지면 게임도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잠깐! 향료 때문에 발견한 신대륙맛과 향을 주는 향신료의 크기는 아주 작지만
인류
역사에서 그 영향력은 어마어마했어요. 유럽 사람들은 고기 요리를 먹을 때 냄새를 없애기 위해 후추 같은 향료를 즐겨 사용했어요. 하지만 그 당시 향료는 주로 인도를 비롯한 동양에서 얻을 수 있었죠. 동양에서 ... ...
Part 4. 외계생명체 탐사 연대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증거를 찾는 수준에 이르렀다. 생명의 기원을 밝히고 지구 밖 생명체를 향해 다가서는
인류
의 발걸음은 어떤 과정을 통해 여기까지 왔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인류
는 언제부터 종이를 접었을까. 지금으로부터 약 1900년 전, 중국에서 종이가 탄생했던 그 시대부터 종이접기가 시작됐을 것이다. 쉽게 휘고 구겨지는 특성 덕분이다. 어쩌면 문맹이 흔했던 과거 시대에는 글을 쓰는 것보다 접어서 작품을 만드는 데 종이를 사용하는 사람이 더 많았을지도 모른다 ... ...
개가 고양이보다 똑똑한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옥스퍼드대 인지·진화
인류
학부 연구팀이 동물의 뇌 크기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뇌가 가장 커진 동물은 원숭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번 연구는 11월 22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 (PNAS)에 실렸다.연구팀은 현생 포유류의 뇌 크기와 과거 동물들의 화석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포유류 500 종의 뇌 크기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