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27건 검색되었습니다.
불순물 섞인 이산화탄소 높은 효율로 분해하는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29
김 교수는 “층상구조 페로브스카이트 표면에 스스로 형성된 코발트 니켈 합금
나노
입자 촉매를 통해 전기분해 성능을 향상시켰다”며 “기술이 상용화되면 발전소나 제철소 등 실제 산업 현장에서 배출되는 황화수소가 포함된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를 직접 처리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 ...
'꿈의 물질' 그래핀 적층 순서 제어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2
로드니 루오프 기초과학연구원(IBS)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장 연구팀은 그래핀의 층수 및 층을 쌓는 순서를 제어할 수 있는 금속기판을 설계해 반도체의 특성을 ...
나노
광전자소자로 응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
테크놀로지’ 21일자에 게재됐다. ... ...
삼성전자·TSMC, '3
나노
경쟁' 본격화…"양산 시점 앞당겨라"
연합뉴스
l
2020.01.22
7
나노
이하 미세공정 기술을 보유한 기업은 삼성전자와 TSMC 단 2곳뿐이고, 7
나노
부터 3
나노
까지 삼성전자가 먼저 개발에 성공했다. 다만 양사 모두 3
나노
반도체 양산 시점을 2022년으로 보고 있어 삼성전자가 미세공정에서 승기를 잡을지는 미지수다. KDB미래전략연구소 강상구 연구원은 20일 ... ...
세계 10대 화합물 '염소' 값싸게 대량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이번에 개발된 촉매(Pt₁/CNT)와 비교군 촉매(상용 촉매: DSA, 백금
나노
입자: PtNP/CNT, 탄소
나노
튜브: CNT)의 염소 발생 반응 성능 측정 그래프다(왼쪽). 낮은 전압으로 높은 전류 밀도를 얻어낼수록 활성도가 높은 촉매다. Pt₁/CNT는 염소 이온이 없을 때 활성이 없는데(점선), 이는 부반응이 없다는 ... ...
빛 쪼여 이산화탄소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없애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효영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
구조물리 연구단 부단장 연구팀은 가시광선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산소와 일산화탄소로 바꾸는 촉매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가시광선으로 화학반응이 가능해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고, 연료로 쓸 수 있는 ... ...
'바이오매스'에서 값싸게 수소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같은 화학물질이 생성된다. 이때 리그닌에 있던 전자가 촉매로 이동하면서 탄소
나노
튜브 전극에 전달된다. 백금 전극으로 이동한 전자는 수소를 만든다. UNIST 제공 ... ...
종이보다 수만 분의 1 얇은 평면자석 세계 첫 합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1.19
실제로 Fe4GeTe2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Fe4GeTe2는 0~10도에서 강자성을 나타낸다. 수
나노
미터 두께로 떼어냈을 때도 강자성이 그대로 유지됐으며, 다른 2차원 물질과도 쉽게 결합할 수 있어 향후 서로 다른 2차원 물질을 결합해 스핀정보소자를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 스핀 상태가 ... ...
[표지로 읽는 과학]세포를 완전한 3D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9
있다. 베치그 교수가 개발해 2014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은 수십
나노
미터(㎚·10억 분의 1m) 해상도까지 자세하게 볼 수 있다. 하지만 광학 현미경은 1만 개가 넘는 단백질을 가진 세포 속에서 형광 분자를 붙인 몇 개의 단백질만 볼 수 있다. 세포 속에서 단백질끼리 어떤 ... ...
[표지로 읽는 과학]반도체·배터리 혁신 가져올
나노
다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1.18
대로 제어해 소재의 물성을 조절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제작한
나노
다결정을 수소연료전지의 촉매로 사용하는 실험 결과, 촉매 활성이 증가해 전지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금속이나 세라믹 등 다양한 결정재료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도 ... ...
빛 색깔 바꾸는 '제3의 방법' 증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나노
실린더 구조에 빛을 가둬 빛의 색깔을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는 광소자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 제 ... 물질 대신 빛을 발생시키는 물질로 구성된
나노
실린더 구조를 제작하면 가장 작은 유전체
나노
레이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