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뉴스
"
정상
"(으)로 총 4,441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 기억 형성되는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약하게 하면 시냅스와 뉴런에 기억이 인코딩되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반대로
정상
적으로 생쥐가 공포 경험을 하고 난 바로 직후 LTP 자극을 통해 이 시냅스 연결을 인위적으로 강하게 했을 때 LTP를 조작한 시냅스에 공포 기억이 인코딩되고 주변 다른 뉴런들에 비해 LTP를 발생시킨 뉴런에 ... ...
얀센 백신 새 부작용 확인…美 FDA “길랭바레 증후군 추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해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국내에서는 올해 5월 한미
정상
회담 합의에 따라 지난달 초 얀센 백신 101만 회분을 공급받았고, 112만9689명이 접종을 마쳤다. 미국 측 요청에 따라 국내 접종자들은 주로 예비군과 민방위 등 군 관련자들로 이뤄져 30~40대 남성이 대부분이다. ... ...
원안위 "고리 3호기 원자로 자동정지 원인은 증기발생기 수위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1.07.12
증기발생기에 급수를 공급하면서 냉각제 열제거 등의 안전 기능은
정상
적으로 유지돼 안
정상
태다. 발전소 내 방사선 준위도 평상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원안위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전문가들로 구성된 사건조사단을 파견해 자동정지 원인을 상세히 조사할 계획이며, 원전 사업자인 ... ...
허블 우주망원경 한 달째 가동 중단…금주 초 '고비'
연합뉴스
l
2021.07.12
실제 대체 작업에 나설 예정이다. 이 작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페이로드 컴퓨터가
정상
가동돼 천문 관측을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허블 망원경의 페이로드 컴퓨터는 1980년대에 개발된 'NASA 표준 우주선 컴퓨터-1'(NSSC-1)로, 망원경의 메인컴퓨터에 "
정상
"(keep-alive) 신호를 보내지 못해 ... ...
[표지로 읽는 과학]경이로운 기하학적 형태를 띠는 꽃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1.07.11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천문학에서는 행성의 궤도가 다른 천체의 힘에 의해
정상
적인 타원을 벗어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콜리플라워는 달리아나 데이지와 함께 식물의 잎이 줄기에 달리는 형태가 나선 형태로 생겨나는 대표적인 식물이다. 연구팀은 콜리플라워가 꽃잎을 만들어낼 때 ... ...
[주말N수학]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의 세계
수학동아
l
2021.07.10
받아들일 텐데’ 하는 생각이 들었죠. 좋은 수학교사가 되기 위해 수학이라는 산의
정상
에 올라가야겠다고 생각하고 독하게 수학 공부를 했습니다. Q 수리생물학이라는 낯선 분야를 하게된 계기가 있나요? 대학을 졸업하고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때였습니다. 우연히 ... ...
"첫 우주 교통사고가 연구의 꿈 되살렸죠"
동아사이언스
l
2021.07.09
쓰레기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다. 지난달 열린 G7(주요 7개국)
정상
회담에서도 미래 우주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우주쓰레기 저감을 위해 각국이 노력하자는 합의문이 채택됐다. 하지만 여전히 명확한 규제는 없는 실정이다. 유엔 산하 외기권 평화적 이용을 위한 위원회(COPOUS)에서 2007년 ... ...
현미경 없이 현미경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21.07.09
아니라 발현된 유전자의 종류도 알 수 있다. 연구팀은 식스코프 기술로 간 조직 내
정상
간세포, 죽어가는 간세포와 유전자 발현이 달라진 간세포를 각각 구별하는 데 성공했다. 또 손상되거나 염증이 생긴 부위를 조직학적으로 확인했다. 이는 같은 약물치료를 받더라도 환자에 따라 반응이 ... ...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혈전증 유발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벡터 방식의 백신에서 혈전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분자 수준에서 비
정상
적인 항체가 혈소판 단백질에 달라붙어 혈전 형성을 유발하는 메커니즘을 실제 환자의 항체를 통해 확인한 것이다. 연구팀은 “PF4는 혈소판 단백질에 매우 독특하고 특정한 방향으로 들러붙기 때문에 ... ...
[대학을 지식전쟁의 최전선으로]④ 대학연구를 팀플레이로 도약시키자
2021.07.06
있다. 소수의 특혜 받은 연구팀으로는 예측 불가능한 미래의 위기에 대응할 수 없다.
정상
적인 연구팀 구성이 보편적인 상식이 될 때 국내 과학기술계는 어떤 위기에도 대응할 수 있는 연구의 다양성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차선신 이화여대 화학나노과학과 교수 ※필자소개 ... ...
이전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