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까지 날아간 현수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쓰이고 있다.“2001년엔 영국 스턴트맨인 이안 애시풀이 헬륨 풍선 600개를 붙들고 3.34㎞
높이
까지 올라갔답니다. 하지만 나와 냥냥은 좀 더 안정감 있는 헬륨 기구를 타고 한국으로 돌아갈까 해요. 이제 사건은 다 해결된 것 같으니까요.”할 일을 다 마치고 돌아가려는 닥터고글과 냥냥. 그런데 ... ...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지름이 6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보다 작고 표면이 고운 진흙을 사용하며 점성을
높이
기 위해 화학물질을 첨가하기도 한다. 이 박사는 “진흙 제조 기술자는 드릴이 뚫을 암석의 성분을 미리 파악해 진흙과 암석이 결합하지 않도록 화학물질의 성분을 조절한다”며 “진흙 제조 기술자는 ... ...
물고기자리 춘분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있었기 때문에 스피카의 위치로 춘분점을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다. 그는 춘분날 밤하늘
높이
떠오른 스피카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한 뒤 춘분점의 위치를 계산했다. 아니나 다를까. 춘분점은 양자리를 벗어나 물고기자리 근처에 있었다.그는 이 결과를 수백 년 전 스피카의 위치 자료와 비교해 ... ...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획기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1kg 정육면체 속 우주 큐브샛 프로그램가로, 세로,
높이
가 각각 10cm인 정육면체로 무게가 1kg인 초소형위성 큐브샛을 이용해 위성부품을 우주에서 인증하거나 우주실험용 또는 교육용 도구로 활용하려는 프로그램. 미국 칼폴리대와 스탠퍼드대가 최초로 제안하고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W-86이고 다른 하나는 길이 21km에 폭 5km의 빙산 A-52이다.
높이
41m의 W-86은 300m 깊이까지,
높이
25~32m의 A-52는 230m 깊이까지 각각 바닷물에 잠겨 있었다.다음은 현장 조사. 연구팀은 남극조사선 ‘로렌스 굴드’를 타고 남극대륙 서쪽에 있는 웨델해로 들어갔다. 2005년 12월 드디어 바닷물에 둥 ...
여인의 초상 제 7화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그걸 알고 있겠죠? 그렇지 않다면, 토끼가 들어앉아야 할 보름달 자리에 다시 십자가가
높이
달린 교회를 두진 않았을 테니까요. 이젠 왜 별명이 래빗인지 설명해 줄 때가 되지 않았나요?”래빗은 고개를 끄덕였지만 설명을 덧붙이진 않았다. 그리고 자신이 그린 그림을 살피다가 엉뚱한 질문을 ... ...
파나마 운하 확장공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의해서 적도 상공에서 아열대로 향하는 공기가 아열대 상공에서 축적하여 하층의 기압을
높이
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열대와 같이 기온이 높은 여름과 비교적 온화한 겨울을 가진 기후 강수량이 적은 지방이 많으나 연강수량 2,00mm 이상의 지방도 포함된다 강수량의 다소와 그 계절의 변천으로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리틀펭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되지않아요. 그러다 보니 바다독수리나 갈매기에겐 한 입거리죠. 바다독수리가 하늘
높이
날아올라 우릴 발견하는 날엔! 후…. 생각만 해도 무서워요. 뒤뚱거리는 걸음걸이 때문에 빨리 달아날 수도 없잖아요!바다에서도 상어나 바다표범이 우릴 노리고 있어요. 하지만 우리는 바다 속에선 무척 ... ...
북극에서 찾은 지구열병 특효약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전날에도 비가 많이 왔다”고 고향 걱정을 하며 보트에 올랐다.하산 군이 탄 보트는
높이
가 수십 m에 이르는 빙벽이 병풍처럼 둘러친 블럼스트럼드 빙벽을 탐사했다. 이곳에서 5년째 보트 항해사로 일하는 아르미 크리스토퍼 씨는 “최근 2년 동안 약 100m 정도 빙하가 후퇴했다”고 말했다. 그래서 ... ...
최종이론의 꿈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그가 “이휘소만큼 절친한 동료 연구자는 없었다”며 물리에 대한 그의 직관을 매우
높이
평가했다.와인버그 교수는 네덜란드의 트후프트가 1971년 표준모형의 내적정합성을 증명했을 때 자신은 그 의미와 중요성을 알아차리지 못했다. 하지만 이휘소 박사가 여기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는 소식을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