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교"(으)로 총 6,84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선선택은 고약한 맛을 만드는 유전자를 택했을 것이다. 이 가설이 맞는다면, 애벌레 때 비교적 먼 혈연들까지도 함께 모여 사는 종보다 친동기들끼리만 모여 사는 종에서 고약한 맛이라는 방어체계가 더 뚜렷이 나타나리라고 피셔는 예측했다.이제 다음 단계는 이타적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가 ...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교수는 자신의 책 ‘협력의 진화’에서 당시 토너먼트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비교적 높은 점수의 프로그램 집단과 낮은 점수의 프로그램 집단을 구분하는 특징은 단 한 가지였다. 그것은 결코 먼저 배신하지 않는 ‘신사적’ 특성이다. 신사적인 규칙은 비신사적인 것들과 100점 이상의 점수 ... ...
- [Career] 산소로 정화한 물, 마셔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연구하고 있다.수처리는 100년 이상 된 오래된 기술이지만 고도산화공정이 도입된 것은 비교적 최근이다. 산업 발달로 기존의 방법으로는 제거할 수 없는 물질들이 발생하면서 그에 맞춰 새로 도입된 정화 기술이기 때문이다. 특히 1991년에 발생한 낙동강 페놀 오염사건은 큰 전환점이 됐다. 보통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4족 보행을 하는 동물의 어깨뼈엔 세로로 위치해요. 또 사람의 척주와 동물의 척주를 비교했을 때, 동물의 극돌기가 사람보다 훨씬 튀어나와 있어요.실제로 과학수사대원들은 신체 각 부분의 뼈 모양과 이름을 배우고, 조립도 해보는 교육을 받는답니다.[*흉추 : 가슴 부분에 있는 척추뼈. * 척주 :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보폭과 속력을 여러 번 재서 계산했기 때문이라고 추측했습니다. 여러 번 시도해야 비교적 정확한 평균값을 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알게 됐네요!Math Tour 세 번째 이야기는 피보나치가 들려주는 수학 이야기입니다. 과연 올레 안에서 피보나치는 어떤 얘기를 들려줄까요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뒤뚱거리는 펭귄’ 등 미리 정답을 입력해둬야, 인공지능이 스스로 생각한 결과와 비교를 해 심층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각 데이터의 정답을 일일이 부여하는 것은 매우 지루하며 손이 많이 가는 일이다. 사람이 알려준 정답을 토대로 학습하는 것을 딥러닝 중에서도 ‘지도학습(supervised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시간이 흐른다.시간은 ‘환상’일 뿐일까?창발하는 시간은, 우리가 잘 아는 물리량과도 비교할 수 있다. 열과 압력은 근원적인 물리적 실체가 아니다. 풍선 속에는 수없이 많은 기체 분자들이 들어 있고, 이런 입자들의 상호작용으로 열과 압력이 측정된다. 텅 빈 공간 안에 입자 한 개만 있을 때 열과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생장률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많다. 플라스마 처리한 씨앗을 처리하지 않은 것과 비교한 결과, 병원균에 저항성을 가지는 유전자 및 단백질이 더 발현되는 것으로 조사됐다(doi: 10.1038/srep05859).● 농식품 살균공기, 물 정화에 쓰이는 플라스마의 살균 기능을 먹거리에도 적용한다. 수증기를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활성도 신호로부터 인지와 후각을 담당하는 영역의 부피를 계산해 나이가 같은 개들끼리 비교했다.그 결과, 후각 탐지 능력을 좌우하는 전두엽과 후각망울, 소뇌, 시상의 부피가 일반 개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뇌의 부피도 일반 개는 약 7만 7000mm3인 데 비해 복제견은 약 10만5000mm3으로 1.3배 ... ...
- [과학뉴스] 대대손손 빛을 잃은 초파리 “믿을 건 냄새뿐”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어받은 후세 박사는 2012년 암흑에서 자란 노랑초파리의 DNA를 분석했다. 보통 초파리와 비교해 DNA 수천 곳이 달라졌고, 단일유전자변이(SNP)도 22만 개가 발견됐다.후세 박사팀은 유전자 변이가 초파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추가로 분석했다. 그 결과로 냄새와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유전자와 ... ...
이전180181182183184185186187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