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재돌입 기술을 확보한 것을 스스로 증명한 셈이다.핵보유국 지위를 갖고 있는 중국도 21
세기
들어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자금줄이 트이면서 군비 확장에도 열심이다. 5대 핵 강국(미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 중국) 중 유일하게 중국만이 ICBM이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의 숫자를 지속적으로 늘려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생각하는 기계를 만드는 방법과 아이디어가 같다.튜링의 생각하는 기계에 대한 전망은 21
세기
에 뇌과학과 컴퓨터의 발달을 통해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물론 학습하는 인공지능은 인간만큼 학습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한번 학습을 끝낸 인공지능이 만들어지면 복제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아니라 언어까지 함께 남긴 것이다.유럽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다. 아이슬란드는 서기 9
세기
에 스칸디나비아의 바이킹과 그들이 영국에서 납치해 온 여자들이 개척했다. 현재 아이슬란드인을 조사하면 미토콘드리아DNA는 주로 영국에서 왔지만, Y염색체는 스칸디나비아에서 왔다. 아이슬란드의 ... ...
수학 - 수학으로 쓴 감각의 예민함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로그함수 그래프는 완만하게 상승하지만 지수함수는 가파르게 상승한다. 이러한 특징이 어디에 활용되는지 고민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번 호에서는 소리의
세기
를 측정하는 단위인 데시벨과 베버법칙의 수학적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생산한다는 생각은 언제부터 갖게 됐을까?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들은 대부분 19
세기
수많은 과학자들의 발견을 통해 알려졌지만 광합성은 아직 그 과정이 완벽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다.처음으로 광합성에 대해 연구한 과학자는 반 헬몬트(Jan van Helmont)다. 17
세기
중엽 그는 식물이 자랐던 토양의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때 기지국과 휴대전화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신호가 전달되는 거리도 길어져서 신호의
세기
가 약해진다. 이 정보를 토대로 A, B와 휴대전화 X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 밖에 전파의 도달 시간이나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각도 등을 통해서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이렇게 두 기지국 A, B와 ... ...
[정보] 돌고 도는 정다면체 순환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사랑했던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의 제13권에 자세히 기록돼 있다.그러다 15
세기
즈음 수학자들은 정다면체가 끝없이 순환하는 성질이 있다는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한다. 다섯 종류의 정다면체가 각각 그 안에 서로 다른 정다면체를 품으며 돌고 돈다는 이야기다. 수학자들은 이를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지름 9m인 접시형 전파망원경을 만든 뒤 하늘을 훑어 1939년 전파지도를 만들었다. 전파의
세기
를 등고선으로 나타낸 그의 지도를 보면 우리은하의 중심과 백조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강력한 전파가 나옴을 알 수 있다. 훗날 카시오페이아 자리의 전파원은 초신성의 잔해로 밝혀졌지만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과학자들을 혼란에 빠트린다. 때때로 이론과 이론이 부딪혀 발생하는 모순을 들이밀며
세기
의 천재들을 곤혹스럽게 한다. 하지만 유혹을 이겨내면 값진 선물을 주기도 한다. 과학사에서 유명한 4대 악마를 만나보자.17
세기
근대철학의 아버지 르네 데카르트는 아무리 의심하려고 해도 의심할 수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2010년 세계적인 뇌과학자와 뇌공학자들이 모여 ‘인간 커넥톰 프로젝트’라는 21
세기
뇌 프로젝트가 시작됐다.인간의 뇌 지도를 밝히는 연구에 도전할 수 있었던 것은 뇌영상 기술의 놀라운 발전 덕분이다. 생체공학자들은 신경세포들을 연결하는 신경섬유 다발의 구조를 뇌를 해부하지 않고도 MRI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