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스페셜
"
박사
"(으)로 총 1,855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성 연구 인력 많아야 멋진 기업”
동아사이언스
l
2009.10.29
교수는 1982년 연세대 화학과 학사 1984년 서울대 화학과 석사 1990년 미국 휴스톤대 화학
박사
1992년~2004년 한국화학연구원 연구원 2006년~2008년 한국과학재단 선임직 이사 2004년~현재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 ...
R&D전쟁 잘 하려면 ‘전략지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27
찾을 것 전승준 센터장은 대학 R&D 생산성 향상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그에 따르면
박사
급 인력의 67.5%가 대학에 있고, 대학에서 발표하는 SCI논문도 급격하게 늘고 있다. 또 피인용지수 30위 안에 드는 우수한 논문도 종종 나온다. 그러나 기초연구의 비중이 선진국에 비해 낮은 편이라는 것이 문제다. ... ...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13
학사 1996년 미국 뉴욕시티대 분자생물학 석사 2000년 미국 뉴욕시티대 세포면역학
박사
2000년~2004년 미국 하버드의대 연구교수 2004년~2005년 미국 하버드의대 교수 2005년~현재 한양대 생명공학과 부교수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 ...
“한국을 역분화 줄기세포 중심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09.09.14
1997~2004년: KAIST 생명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 1997~1998년: 미국 미쏘우리-콜롬비아대
박사
후연구원 1999~2003년: 충남대 농과대학 동물자원과학부 겸임교수 및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동물발생공학연구실 실장 2003년: 로얀국제학술상 최우수상 수상 2006년: 생명연 전략연구본부 본부장 2006~ 현재: KAIST ... ...
“BT산업 육성의 선결조건은 융복합에 강한 인재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09.09.02
중 가장 많은 학생이 생명연에서 공부하고 있는 것이다. 총 74명의 학생이 생명연에서 석,
박사
과정을 공부하며 실무와 연구를 함께하고 있다. 많은 학생들이 생명공학을 연구하겠다며 생명연으로 몰려들고 있는 이유는 뭘까. 이 총장은 “경쟁력 있는 과학기술 분야를 학생들이 가장 먼저 알아보기 ... ...
“효율적인 연구인력 관리가 성과의 지름길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09.08.18
안됩니다.” 정종경 교수가 연구실 학생들과 토론하고 있다. 정 교수는 정부가 대학원,
박사
후연구과정 학생들의 국내 유치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진 제공 KAIST 안정적 연구비 확보 아쉬워, 과학자 위한 지속적인 연구환경 만들어야 정 교수는 올해로 지난 9년간 참여해 온 ... ...
0원하던 기술이전료 100억 만든 사나이
동아사이언스
l
2009.07.28
있었다. 2003년 생명공학분야 기술평가 전문 벤처기업인 ‘Bio I&S’ 대표를 맡던 현병환
박사
가 연구소로 돌아왔다. 과거 생명연 연구정책과장을 지냈던 그가 혁신정책실장을 맡게 된 것. 현 센터장은 자타가 공인한 기술사업화, 기술경영 전문가다. 현재 공공연구기관 BT연구를 지원하는 ... ...
“의사도 연구 안하면 경쟁력 잃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09.07.21
년~1991년 미국 미네소타대 방사선과 연구원 1994년~2000년 연세대 부교수 1999년 아주대 의대
박사
1999년~2000년 미국 스탠포드대 방문교수 2000년~현재 연세대 교수 2007년~현재 연세대 영상의학과 주임교수겸 과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 ...
“바이오는 기다림의 산업…글로벌 네트워크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09.07.07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피터야거 사장은 198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약물학
박사
1983~1988 네덜란드 산도스 근무 1988~1993 산도스 본사 근무 1993~1999 일본 산도스 신제품관리 및 전략기획부 총책임자 1999~2002 노바티스 본사 유럽지역 마케팅 총괄책임자 2002~2008 태국 노바티스 대표이사 겸 ... ...
“신약 개발 성공하려면 변리사부터 뽑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09.06.16
졸업하고 1997년 같은 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7년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약대에서
박사
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1년 제약회사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연구원으로 취업해 미국 제약업계에 발을 들여 놓았으며, 2004년부터 암 치료제 전문기업인 제넨테크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