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간"(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예년 보다 더운 여름, 모기 잘 물리는 동네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계획이었지만 무산됐다. 분포 현황을 일반에 공개할 경우 지역 간 위화감을 조성할 수 있고, 부동산 가격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2010년 국정감사 당시 행정안전위원회 최규식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 시내 모기 유충이 서식하는 곳은 강남구가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신원 확인을 시작할 계획이다.발굴해야 할 전사자의 규모가 약 13만 명, 이 가운데 연간 1000여 구의 유해를 발굴한다고 할 때 이 추세로는 130년이 걸린다. 게다가 약 1% 수준인 신원 확인 성공률이 그대로 유지된다면, 10만 여 구의 유해를 보관할 거대한 시설이 필요하다는 현실적인 문제도 있다.정 ... ...
- [Issue] 빅데이터 하나로 미래 도시 탈바꿈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미래 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정홍식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 ...
- [필즈상] 미분기하학 분야 필즈상 0순위, 시몬 브렌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써야 하지요. 브렌들 교수는 페렐만 교수의 연구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2013년 어떤 공간에 있는 도형을 평균 곡률 흐름을 이용해 축소할 때 쓸 수 있는 특이점 수술법을 고안했습니다. 평균 곡률 흐름이란 평균 곡률에 의존하도록 리만 다양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걸 말합니다. 같은 분야를 ... ...
- 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수학자 게오르크 칸토어가 수백 년간 아무도 입 밖으로 꺼내지 않았던 단어, ‘무한’을 언급하면서 세 번째 격투가 시작됐다. 칸토어는 원소의 개수가 무한히 많더라도 셀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물론 모두 셀 수 있는 건 아니다. 스스로 공들여 고안한 방법으로 무한 집합의 크기도 쉽게 비교할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50~120년 전에 등장해 빠르게 퍼져나갔다고 주장했다. 공동연구진은 “이 시기는 대륙간 국제 무역이 빠르게 증가하던 시기와 일치한다”며 “애완용 양서류의 국제 무역이 항아리곰팡이 전파에 직접적인 원인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지역의 애완용 무당개구리에서 아시아의 항아리곰팡이 ... ...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방해한다. 하지만 시그널하우스에서는 자신의 마음을 계속 관찰하고, 솔직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진다. 입주자 모두 그것에 충실했고, 마음의 소리에 따라 용기 있는 결정을 했다고 생각한다. 두 명의 출연자를 제외하고는, 그곳에 상대방이 없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안고도 선택을 했다. 더욱 ... ...
- Intro. 첨단 과학의 전쟁터, 게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굴러가는 건 ‘물리 엔진’에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이고, 내가 왼쪽으로 가고 싶어서 간 것뿐인데 ‘좌회본능’이라는 심리학적 밸런스 디자인을 적용한 것이란다. 욕설도 함부로 못 하도록 인공지능(AI)이 감시도 하고 있다고. ★ 이 모든 걸 계획한 이는 ‘게임 개발자’로 불리는 그들. 게임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정보도 담겨 있다. 최 교수는 “이번 유전자 지도는 색과 향이 짙고, 꽃이 크며, 오랜 기간 피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병충해에도 강한 ‘완벽한 장미’를 만드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뒤 잎에서 샘플을 채취한다. 여기서 복잡한 DNA추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샘플을 10분간 배양한 뒤 자체적으로 개발한 형질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해 유형을 분류한다. 지금까지 복숭아 향 유전자(FaFAD1), 딸기 세균반점병 저항 유전자(FaRXf1), 딸기 시듦병 저항 유전자(FaRPc2), 딸기 뿌리썩음병 저항 ... ...
이전1811821831841851861871881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