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d라이브러리
"
새
"(으)로 총 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익룡발자국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 뒤 추가 연구를 통해
새
로운 익룡으로 밝혀지면 신종으로 등재할 계획이다.임종덕 학예연구관은 미국 캔자스대에서 척추고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BK21교수를 거쳐 2006년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 ... ...
힘찬 기상과 애절함을 담은 소리 피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대금이나 단소 같은 악기는 바람을 취구로 불어 넣을 때 바람의 절반 정도가 악기 밖으로
새
나간다. 같은 세기로 바람을 불 때 그만큼 악기를 통과하는 바람이 적어 상대적으로 소리가 작다.서는 얇게 깎은 대나무 두 겹을 겹친 뒤 구리줄로 묶어 만드는데, 맑고 청아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돕는 ... ...
마하 15 극초음속 시대를 열어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조니까요. 사실 이 개념은 1930년부터 나오기 시작했으니 그리
새
로운 것도 아니예요.”정 교수의 연구실에서는 이론에서 구한 램제트와 스크램엔진의 추진력을 연구실에 설치된 극초음속충격파 풍동장비로 실험한다. 연구실 한 가운데를 가로지르던 길이 10m의 장비가 바로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결함이 있는 아이들이 보이는 현상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길을 걷다 아름다운
새
소리가 들리면 나도 모르게 ‘FOXP2’란 단어가 떠오르며 강한 동질감이 느껴지지 않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 ...
마스크와 손 씻기 신종플루 예방효과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타입 A : 항균 성분이 없는 고형 비누. 비누의 일반적인 사용환경을 재현하기 위해
새
제품이 아니라 실제로 화장실에서 사용하던 제품으로 실험했다. ■타입 B : 액체형 항균 물비누. PCMX라는 항균 성분을 함유한 제품으로 손에 짜서 거품을 내고 물로 씻어내는 타입이다. ■타입 C : 60%이상의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열쇠는 종전의 자동차 기술을 개량하는 데 있지 않다. 전통적인 자동차에 없던
새
기술을 끌어와야 하는데, 그 중심에 바로 2차 전지가 있다. 2차 전지는 전기 자동차 시대를 열 핵심 동력원으로 꼽힌다. 휘발유와 공기를 섞어 불을 붙이는 엔진의 시대가 가고 전력을끌어와 공급하는 모터의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다른 카메라가 등장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하지만 21세기 들어 카메라는
새
로운 용도를 개척하며 여전히 ‘사실의 정직한 목격자’로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앞으로 카메라가 또 어떻게 진화해갈지 관심이 쏠린다. 두 눈으로 실감 영상 담는 3D 디카 눈의 구조를 설명할 때 흔히 ... ...
무한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양을 모두 합쳐도 하루 평균 5000t에 못 미친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이는 엄청난 규모다.
새
롭게 개발되는 이 시설이 더욱 특별한 이유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국산부품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전까지는 고압펌프나 역삼투막 같은 핵심부품을 외국에서 수입해 사용했지만 이 시설은 국내 ... ...
1. 생활 속 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892년 미국 특허를 받을 때 톱니의 수는 24개였다. 그 뒤 자동기계가 나오고 주석판을 입힌
새
로운 재질이 개발되면서 톱니를 21개로 줄이고도 같은 효과를 누리게 됐다. 현재 병뚜껑 톱니 수의 세계 규격은 21개다. 이보다 적으면 병을 흔들 때 가스의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뚜껑이 열릴 수 있다. 2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보낼 로켓 등을 만들 때 수 없이 많은 단위를 사용한다. 그러나 필요할 때마다 단위를
새
로 만든다면 너무 복잡할 것이다. 되도록 단위를 적게 사용하면서 아주 크거나 아주 작은 수까지 모두 나타낼 수 있어야 편리하다. 그래서 만든 수가 바로 소수다. 실생활에 꼭꼭 숨은 소수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