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납득
수긍
양해
용납
인식
해득
분별
d라이브러리
"
이해
"(으)로 총 6,386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연구자의 꿈을 이뤄주는 ‘슈퍼’ 도우미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물리학 등을 전공했다. 강 실장은 “각 분야 연구자들이 계산(연구)하는 방식을 잘
이해
해야 슈퍼컴퓨터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다”고 말했다. 강 실장은 “내년에 지금보다 100배 빠른 시스템을 구축하면 더 많은 연구자들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가상인터뷰] 팝콘 냄새가 나는 동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받고 있지요. 리디아 그린 교수는 저를 통해 냄새를 이용한 동물의 의사소통을 더 자세히
이해
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어요. 교수님의 연구를 통해 사람들이 빈투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저희들을 더 아껴 줬으면 좋겠어요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어깨수’라 하고, ‘급수’를 ‘합열’이라고 하는 것처럼 용어를 보고 바로
이해
할 수 있어 뜻이 쉽게 와 닿는다”고 말했다.물론 북한의 수학 용어가 다 좋지는 않다. 한자어나 외래어를 너무 억지스럽게 순우리말로 바꾼 예도 있다. 한자인 ‘순열’과 ‘조합’을 ‘차례무이’와 ‘무이’라고 ... ...
[수학동아클리닉] 오목으로 익히는 순서쌍과 좌표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규칙을 설명하는 데 시간이 적게 걸린다는 장점이 있다.이 수업은 그저 학생들이
이해
한 정도를 확인하려고 만든 활동이었는데 수업을 마친 뒤 학생들의 반응이 놀라웠다. 대결하는 중에 ‘좌표축 위의 점은 적지 말아 달라’고 같은 팀 친구에게 이야기하는 학생이 있었다. 이유가 무엇이냐고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무리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유전자와 장내미생물을 종합하면 우리 몸의 생명활동에 대한
이해
가 어마어마하게 높아질 것만은 사실이니까요.” 천 교수는 미생물의 특성을 잘 모르는 일반인들에게 특히 장내미생물의 효과와 한계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장내미생물을 운동에 ... ...
[Tech & Fun] ‘헬조선’의 불행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띄는 것은 한국의 집단주의 문화다.집단 속에서 자신을 잃은 개인들심리학에서 문화를
이해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한 가지가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관점이다.개인주의는 개인이 사회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단위라고 생각한다. 개인주의 사회에서 모든 사람은 그 자체로 ... ...
OUTRO. 우리는 과연 진짜일까?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활발하다. 수학이나 과학 시간에 배우는 추상적인 구조나 개념을 가상으로 보여줘
이해
를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를 배우는 역사 시간에는 교사와 학생이 함께 조선에 가서 왕이 있던 시대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지난 2014년 세계 최대 소셜네트워크 페이스북이 가상현실 제작 업체인 ... ...
[지식] 재미난 수학이 삶을 바꾸다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아이들이 자는 시간에 무슨 일을 할지 항상 생각해요. 훗날 수학자가 되려는 여성의 삶을
이해
해주고 공감해줄 수 있지 않을까요?”만약 3일간 휴가가 생긴다면 박 교수가 하고 싶은 일은 단연 ‘공부’다. 육아를 하기 전에는 문제 하나에 꽂히면 잠이 안 와서 이틀 동안 밤을 새고, 하루 자는 생활을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기쁨이나 슬픔 등 다양한 감정을 느끼는 것도 의식에 해당한다.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을
이해
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거나, 어떤 문제에 대해 곰곰이 따져보는 것(지혜)도 의식이다. 특히 주변 환경과 ‘나’를 분리해서 생각(자기인식)하거나, ‘나’라는 존재에 대해 몰두(자의식)하는 것은 ... ...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한국뇌연구원 원장의 기조강연으로 첫 포문을 열었다. 김 원장은 “뇌의 자연지능을
이해
하는 것이 인공지능 완성에 필수”라고 말했다. 인간의 지능을 정확하게 정의하고, 지능이 발생하는 방법을 알아내면 인공지능 연구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이어진 본 강연에서도 멀게만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