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d라이브러리
"
하지
"(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게임 몰입도가 증가하고, 몰입은 사람들의 추가 행동으로 이어진다. 평소 요리를 잘
하지
않던 사람들도 쿡방을 보고 주방으로 달려가 프라이팬을 찾아들게 되는 이유다. 요리에서 가장 귀찮은 과정인 재료 손질이나 설거지가 방송에는 모두 빠져있다는 사실은 모른채 말이다.“생계형 쿡방,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실상 북한의 조선어는 한자로 이뤄진 게 매우 많다. 북한은 한자어 표기를 원칙적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외래어를 조선어로 바꿀 경우 오히려 뜻을 이해하기가 더 어렵다.그밖에도 뜻은 같은데 다른 한자를 써서 헷갈리는 용어들이 있다. 원래부터 한자어에서 비롯된 용어는 남북한 모두 한자 그대로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분야의 발달이 필요해요. 그래서 뇌 연구를 ‘제2의 달 탐사 프로젝트’라고 말
하지
요.
하지
만 반대로 생각하면 뇌 연구의 발전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방법이 아주 많다는 뜻이에요. 친구들이 어른이 돼서 완벽한 뇌지도를 만들고, 인공지능을 지닌 로봇을 만드는 모습을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할 때마다 등 뒤에서 ‘쾅!’하고 큰 소리를 냈다. 아이는 처음엔 흰쥐를 무서워
하지
않았지만 실험이 여러 번 반복되자 큰 소리를 내지 않아도 흰쥐만 보면 울음을 터뜨렸다. 파블로프의 개 실험과 유사한 결과다. 그렇다면 공포영화에서 귀신이 나오기 전에 나오는 장면들(주인공이 한 곳을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되돌릴 수 있는 물질을 써야 한다”며 “현재 사용하는 복원 방법은 최선의 방법이기는
하지
만 최후의 방법은 아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어느 정도 형체가 복원되면 색맞춤 과정으로 넘어간다. 실제 복원 작업이 진행되는 복원실에서는 연구사들이 미대생들처럼 물감을 이리저리 섞으며 고심하고 ... ...
[지식]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함께 발달한다.표절은 ‘적발 대상’, ‘도덕적 문제’라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크다.
하지
만 표절을 예방하는 것은 단순히 범죄나 책임을 피하는 것보다 의미 있는 일이다. 내 글을 안전하게 쓰는 동시에 다른 사람의 창작물을 존중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없는 단일 세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연히 정자 안에 아주 작은 사람도 존재
하지
않았고 전성설은 몰락했다. 후성발생은 1879년 월터 플레밍이 염색체를 발견하면서 개념을 수정해야 했다. 플레밍은 염색체가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최초로 밝혀냈고, 이로써 화학반응이 아닌 ... ...
개미 10마리 중 4마리는 ‘베짱이’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집단으로 교대 근무를 하며 휴식과 작업을 반복했다. 이들은 전체의 약 60%를 차지했다.
하지
만 나머지 40%는 3일 동안 거의 움직임이 없었다. 특정 개미 종은 쉬면서도 체내에서 분비물을 만들어 집단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번에 실험한 종은 그런 특성도 없었다. 샤르본 박사는 게으른 개미가 ... ...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카셰어링을 운영하는 서울시 관계자는 “사업 초기에 경제성 분석이나 공학적 설계를
하지
못했다”며 “카셰어링 업체가 주차장 공유를 요청하면 그 지역의 인구 수를 토대로 공유 면적을 결정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그렇다면 유휴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쓰는 방법은 없을까. 엄상일 KAIST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옥상에 설치된 판도라는 고개를 푹 숙이고 죽은 듯이 있었다. “하늘을 바라보고 있다고
하지
않았나요?” 동행한 김우경 연세대 대기과학과 연구원에게 물었다. 말이 끝나기 무섭게 판도라가 기계음을 내며 고개를 치켜들었다. 권총처럼 생긴 판도라는 사방으로 총구(?)를 돌리며 관측을 하기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