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최선을 다했다. 당시 그의 마음이 어땠을지는 누구보다 잘 알 것 같았다. 나 역시 2007년 한국 최초 우주인 후보 2명 중 백업 우주인으로 선발됐기 때문이다. 서운한 마음에 눈물을 보이기도 했지만, 결국 대한민국 최초의 백업 우주인으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던 기억이 난다. 무카이 박사는 ... ...
- [따끈따끈한 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7년에는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회원으로 선정됐습니다. 참고자료 세르게이 노린, 쑹쯔샤 ‘Breaking the degeneracybarrier for coloring graphs with no Kt minor’, 영문 위키백과 ‘하트비거 ... ...
- [영국유학일기] 시험공부, 과제, 인턴십 쉴 틈 없이 바쁜 방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제공하고 있지만, 사실 나는 이 중에서 제대로 해본 게 없다. 긴 여름 방학에는 보통 한국으로 들어와 과외를 했다. 임페리얼칼리지의 비싼 학비와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우리나라는 영국 대학 입시 준비 학원이 많지 않아 나와 같은 영국 유학생들에 대한 수요가 많은 편이다. 이 ...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선택은 받지 못했다. 김승리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의 외계행성 탐색시스템 개발을 총괄했으며, 정밀한 관측을 통해 별과 행성에 의한 미세한 변화를 연구하고 있다.slkim@kasi.re.kr 용어정리*도플러 효과별이 우리(관측자)한테서 멀어지면 별빛은 ... ...
- T-800, 28년 만에 등장 터미네이터도 늙을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형성하는 반응을 일으켜 원래 모양으로 복구된다. doi: 10.1109/ROBOSOFT.2019.8722781 또 2017년 한국화학연구원은 황 화합물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에 더해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복분해반응’이 잘 일어나게 하는 신소재를 개발했는데, 이 신소재는 기존 소재보다 기계적 강도가 2배 이상 크고, 절단 후 ... ...
- [중국유학일기] 기말고사가 가장 중요 족보 집중탐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풀면서 그동안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 시험에 대비한다. 중국 대학의 시험 기간 분위기는 한국의 수험생들과 비슷하다. 그렇게 해야 시험을 통과할 수 있고 졸업도 할 수 있다. 평소에 규칙적으로 생활하며 수능을 준비하듯 우한대에서도 규칙적으로 공부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 ... ...
- 정교한 예측 돕는 숨은 숫자수학동아 l2019년 11호
- 값을 알아내 반영하는 것이 중요해요. 예를 들어 아프리카의 경우 돼지를 방목하지만 한국은 좁은 우리에 가둬서 기르기 때문에 두 값이 아프리카에서보다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아모스 세마팀바 우간다 굴루대학교 수학과 교수팀은 2010~2011년 우간다 굴루 지역에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을 ...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전시 및 교육 콘텐츠 개발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경기 화성시의 지원으로 발족한 ‘한국-몽골 국제공룡탐사’ 참여(2008년 3차 탐사)를 계기로 매년 몽골 고비사막의 공룡 화석지를 탐사하며 새로운 발견을 꿈꾸고 있다. fossilis@kigam.re ...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이용하면 훨씬 더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다만 아직 갈 길이 멀다. 김 교수는 “한국은 실험에 대해 윤리적인 규제가 과한 측면이 있다”며 “장기적인 의료 발전을 위해서는 임상은 허가하되 임상에서 나타나는 위험 요소를 엄격히 규제하는 방향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다시 한번 e메일을 보냈다. 이후 서멘자 교수는 항체를 보내주면서, 이듬해 학회 참석차 한국을 방문할 일이 있으니 만나자고 했다. 그렇게 서멘자 교수와의 인연은 시작됐다.그동안 필자와 서멘자 교수는 공동연구자로서 10년 넘게 서로 도움을 주고 받아왔다. 단순히 온라인에서 연구에 관한 ... ...
이전1811821831841851861871881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