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제
통제
콘트롤
처리
조작
조치
자제
뉴스
"
제어
"(으)로 총 2,643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야 넓고 몰입감 높은 AR 렌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빛의 파장보다 더 크기가 작은 무늬를 물질표면에 새겨 넣어 빛의 굴절을 원하는 대로
제어
할 수 있다. 시스루 메타렌즈는 얇고 가벼워 증강현실 안경의 접안렌즈로 이용하면 기존 방식에 비해 시야각을 크게 넓힐 수 있다. 기존 렌즈들과 달리 사용자의 눈 바로 앞에 위치시킬 수 있어서, 고성능 ... ...
미래 메모리 기술의 결정체 '스커미온 입자'
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확인했다. 이 연구는 스커미온을 만드는 새로운 방법과 함께, 스커미온을 손쉽게
제어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은 것으로 평가 받는다. 연구팀은 향후 스커미온을 이용해 스핀트로닉스 소자 등 미래형 정보 소자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노 단장은 “응집물질 물리학의 주요 연구 주제인 ... ...
재생 '인조근육’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부분을 잃은 사람은 장애를 안고 살아가야 했다. 연구진은 근육세포가 자라는 방향을
제어
하도록 전기유체공정을 한 단계 발전시켜 근육세포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양하는데 성공했다. 수분을 특수분자 구조로 엮어 끈적하게 만든 ‘하이드로겔’에 세포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라도록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2차 발사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04
6일 3차 발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권 교수는 “현재 단계에서는 로켓의 정확한 비행궤도
제어
와 도달 고도 같은 비행 성능 개선이 제일 중요하다”며 “당분간 로켓의 최대 고도를 높이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과학로켓은 상공 30㎞ 이상의 준궤도에서 운용된다. 도달 고도는 ... ...
메타물질로 빛 주파수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4
파장보다 크기가 더 작은 특수한 무늬를 새겨 형상에 따라 부딪힌 빛이 반사되는 방향을
제어
할 수 있다. 이전까지 메타물질 연구는 빛의 굴절률에 변화를 주는데 그쳤다. KAIST 연구진은 이런 메타물질 두 개를 동시에 사용해 빛의 속도를 높이거나 낮추도록 만들었다. 빛의 절대속도는 변화하지 ... ...
지구 닮은 행성 존재 알리고 은퇴하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2018.11.03
이에 NASA는 태양과 나머지 두 개의 리액션 휠을 사용해 세 방향으로 우주선을 안정화하고
제어
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고안했습니다. K2라고 불리는 새로운 미션은 케플러가 다른 세계를 계속 탐색하고 관측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가져왔습니다. K2는 첫 번째 미션만큼 오래 지속되어 총 50만 개 ... ...
영화 '퍼스트맨' 보는 관객을 위해 정리한 NASA 스토리
과학동아
l
2018.11.03
드러났다. 암스트롱은 위기 상황에도 냉정함을 유지하는 비행사였다. 암스트롱은 자동
제어
를 수동으로 바꿔 크레이터 서쪽에서 396m 떨어진 지점에 착륙시키기로 했다. 1969년 7월 20일 최초의 달 유인 탐사에 성공한 ‘아폴로 11호’는 NASA 역사상 단연코 가장 위대한 업적으로 꼽힌다. 결국 아폴로 ... ...
앉아만 있던 그가 다시 걷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1
채 걷는 모습. - 사진 제공 네이처 연구팀은 전기를 가하는 시점과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
해 세 명의 남성 환자에게 실험했다. 그 결과 환자는 빠른 속도로 다리를 움직이는 능력과 걷는 능력을 회복했다. 실험에 응한 세 명의 환자 모두 일주일 만에 몸을 기댄 상태에서 걸음을 옮길 수 있게 됐다. ... ...
난방용 태양열 저장 열배터리 효율 2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입자 운동을
제어
해 공급 용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
한 것이다. 연구진은 이 두 가지 방법을 결합해 불안정했던 난방 온수 공급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이런 방식으로 열배터리의 에너지 손실률을 최대 56% 줄었다. 기존 ... ...
‘8K’ 디스플레이 화질 필름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이 필름을 이용하면 전기가 끊어지는 원인인 ‘도전입자’의 움직임을 완벽하게
제어
할 수 있다. 도전입자의 포획률이 기존 이방성 전도 필름의 33%에서 최고 수준인 90%까지 높아졌다. 연구팀은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입자 간 거리가 20㎛(마이크로미터) 이하인 ‘극미세피치’ 디스플레이에서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