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후보6. 수학자 마음 사로잡은 비둘기집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원리는 경우의 수를 구할 때 유용한 개념으로 원리가 무척 간단해서 실생활에서도
활용
할 수 있어요. 사실 처음부터 ‘비둘기집의 원리’ 였던 건 아닙니다. 1834년 독일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는 사각형 칸으로 이뤄진 서랍장에 진주를 하나씩 채우는 방법을 떠올려 ‘서랍 원리’라고 ... ...
[SW 진로체험] 수학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핵심은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모든 것들을 추상화시켜 표현하는 언어잖아요. 따라서 기호를 잘 이해하고 어떻게
활용
하는지를 잘 배워 두세요. 지금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 지식은 서로 관련 없어 보이지만 나중에는 서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초를 탄탄히 다지길 바랍니다 ... ...
[동아리탐방] 수학에 눈뜨자! 경희여고 MathEye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공수민 양은 “일상생활에서 수학 용어나 기호가 많이 쓰이게 만들고 싶어 수학 용어를
활용
한 이모티콘을 만드는 활동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홍 교사에게도 계획이 있다. 경희여고 수학실을 다른 학교 수학실처럼 꾸미는 것이다. 올해가 지나면 현재 텅텅 비어있는 흰 벽은 수학 원리가 담긴 ... ...
오퍼튜니티, 성과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분광기’가 쓰인답니다. 철은 물과 만나면 다양한 이온 상태로 변하거든요.이런 장비를
활용
해 오퍼튜니티가 지구로 전해온 첫 번째 물의 흔적은 착륙 지점 부근에서 수도 없이 발견된 직경 4~6mm의 조그맣고 동글동글한 알갱이에요. 보랏빛을 띠어 블루베리라고 이름 붙여진 이 광물은 적철석이지요. ... ...
백금보다는 구리, 새로운 불균일촉매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점에서 생체 효소와 원리가 같다. 이 촉매는 반응이 끝나면 이산화티타늄으로 복구돼 재
활용
도 가능하다.연구팀은 이렇게 개발한 불균일촉매를 이용해 물과 에탄올에서 수소를 생산한 결과 효율이 40%에 이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지금까지 개발된 불균일촉매 가운데 가장 효율이 좋다고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뉴클레오티드를 연구하게 됐다. 우리 팀은 퓨린계 뉴클레오티드 중 하나인 아데노신을
활용
했으며, 여기에 산소가 추가로 붙어도 복제하는 속도와 정확성은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가정했다. 하지만 산소가 붙은 뉴클레오티드는 기존의 아데노신보다 정확도가 크게 낮았고, 이로 인해 유전정보를 ... ...
고려대-SK하이닉스, 연세대-삼성전자 반도체 인력의 세대 교체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한 시스템반도체가 필요하다. 두 번째는 서버와 같이 큰 기기에
활용
할 ‘고대역폭메모리(HBM·High Bandwidth Memory)’다. 고대역폭메모리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반도체와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위아래로 쌓아 거리를 최소화한다. 데이터가 오가는 거리를 줄여 정보 처리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이를 잘
활용
해서 탄소를 흡수하는 자원으로
활용
하는 방법도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갯벌 체험을 무사히 마친 학생들은 바위로 돌아와 준비한 물로 몸에 잔뜩 묻은 갯벌 흙을 씻어냈다. 박예빈 양(인천 학익여고 1학년)은 “항상 생물다양성을 위해 ... ...
수리연-부산시, 손잡고 수학으로 의학 문제 푼다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문제를 수학적 기법으로 해결할 방안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의료 영상과 데이터를
활용
해 보다 정확하게 질병을 진단하고, 감염병이 어떻게 퍼질지 경로를 예측하며, 치료 효과를 높이는 방법 등에 수학적 해답을 제공하는 겁니다.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고난도의 기술적 문제로 ... ...
수학 문화재는 어떻게 알아보나요?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한국에서도 7세기 초 백제시대에 이미 구구단을 외우고
활용
했던 기록이 발견됐거든요. 구구단이 기록된 목간(나무판)입니다. 일본에서 발견된 구구단 기록보다 훨씬 앞선 기록이어서 변명의 여지없이 구구단이 중국에서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전파된 것이 확인된 겁니다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