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뉴스
"
사람
"(으)로 총 21,312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마초의 과학
2015.10.12
젊은이들이 마리화나를 피우거나 소지하다가 적발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우리나라
사람
들 눈에는 엄청난 일처럼 보이지만 이 친구들은 좀 당황스러울지도 모른다. 자국에서도 불법인 건 맞지만 최근 수년의 우리나라 간통죄처럼 소량 소지하는 건 신경도 안 쓰기 때문이다. 대마(삼)는 ... ...
이건 바닐라 향, 저건 바다 내음…냄새 맡는 ‘전자 코’ 개발
2015.10.12
두 종류의 향기를 동시에 인식하는 데 성공했다”며 “앞으로 후각수용체 숫자를 늘리면
사람
처럼 370종류의 향기를 모두 인식하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과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 ‘나노 레터스’ 온라인 판 9월 24일 자에 게재됐다. 연구진이 전자 코를 개발하는 ... ...
1900년에 살던
사람
들이 상상한 2000년
2015.10.11
제공 100여 년 전
사람
들은 미래를 어떻게 상상했을까. 최근 인터넷에는 1900년에 살던
사람
들이 상상한 그림이 화제가 되고 있다. 프랑스의 상업예술가였던 장 마크 코테(Jean-Marc Côté)를 비롯한 몇몇 예술가들이 1899~1910년에 그린 그림들이다. 원래 담배 상자 안에 동봉하는 종이 카드 형태로 ... ...
코끼리가 암에 잘 안 걸리는 이유
2015.10.11
하나씩 물려받아 2개를 갖고 있다. 그렇다면 20배나 많은 암 억제 유전자를 가진 코끼리는
사람
보다 암에 20배 덜 걸리는 것일까. 연구팀은 코끼리와 정상인, 리프라우메니 증후군 환자로부터 세포를 추출한 뒤 자외선을 쪼여 암을 유발했을 때 p53 단백질의 작동으로 얼마나 많은 암세포들이 파괴 ... ...
삼시세끼 어촌편 만재도는 ○○○가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0.09
공간이 됩니다. 아마 ‘삼시세끼 어촌편 2 - 만재도’에서 그 다양한 해양생물을
사람
이 어떻게 먹고 즐기는지 볼 수 있지 않을까요? 호주 시드니 남부를 흐르는 조지강 유역의 모습. 이 지역은 과거 빙하기에 육지였던 곳으로, 간빙기가 되며 해수면이 상승해 육지 일부가 물에 잠겨 복잡한 해안선을 ... ...
독감, 모유 수유 통해 전염될 수 있다
2015.10.09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켈빈 교수는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가 낙타 젖을 통해
사람
을 감염시키는 만큼 유선 조직과 기관지 조직의 비슷한 구조 덕분에 호흡기 바이러스가 양쪽 모두를 감염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닌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결과는 ‘플로스 패쏘젠(PLoS ... ...
현생 인류, 아프리카에서 시작된 거 맞다
2015.10.09
최소 4500년 전까지 유라시안이 아프리카에 유입되지 않았음을 뜻한다. 박 교수는 “한
사람
의 게놈에는 민족 전체의 진화 정보가 포함돼 있고 방대한 생명 의료 정보가 새겨져 있다”며 “고대 화석의 유전체는 인류의 뿌리를 찾는 핵심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코끼리 도토는 정말 정준하를 기억했을까
2015.10.09
담당하는 지인환 사육사는 칼처럼 뾰족한 도구를 쓰는 탓에 코끼리들에게 ‘아픔을 주는
사람
’으로 인식되고 있다. - 과천=권예슬 기자 yskwon@donga.com 제공 ● 뛰어난 기억력은 생존 위한 것 과학자들은 코끼리가 뛰어난 기억력을 지니게 된 이유를 무리의 운명과 관련지어 해석한다. 리처드 번 영국 ... ...
전기 통하는 新 부도체 찾았다
2015.10.09
솔리톤에 갇힌 전자도 함께 이동한다. 이는 무빙워크가 움직이면서 타고 있는
사람
을 이동시키는 원리와 같다. 연구진은 주사터널현미경(STM)으로 인듐 원자 전선을 관찰한 결과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솔리톤을 발견해 여기에 ‘카이럴 솔리톤’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염 단장은 “전자기기는 ... ...
눈 혹사 이대로면 2050년엔 ‘눈먼 자들의 지구’
2015.10.08
명 중 1명꼴로 실명의 위험에 빠진다는 얘기다. 나이도 교수는 “근시가 진행되고 있는
사람
들을 50% 줄이면 고도근시 인구를 90%까지 줄일 수 있다”며 “강한 시각적 자극에 많이 노출되는 현대인의 행태를 개선하고 시력 회복에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1866
1867
1868
1869
1870
1871
1872
1873
18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