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기원전 2세기 그리스의 천문학자 히파르코스가 축적해 놓은
관측
데이터와 수학적 이론을 종합해 ‘수학집대성’(Syntaxis)이라는 책을 지었다.여기에는 천동설이라 부르는 지구 중심의 우주구조와, 이에 기초한 천체운동의 원리와 계산법이 총망라돼 있다. 이 책은 9세기 초 ... ...
항암제 성분의 알을 낳은 유전자변형(GM) 닭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고감도 증폭기 등에 실용화하고 있는 현상이며 우주에서는 널리 메이저 증폭작용이
관측
되어 이를 성간 메이저라고 한다성간공간이나 성간운(雲) 속에 존재하는 자기장 성간 가스 속의 이온의 라머 반지름(하전입자가 자기장 속에서 하는 원운동의 반지름)은 가스운이나 은하 가스 원반의 두께에 ... ...
14년 우정이 만든 빛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고 결과는 연구 성과로 나타난다. 캄브리아기 화석, 미세혈관도
관측
제 교수는 “X선 영상을 이용해 구리전극 위에 아연금속을 도금할 때 계면에 만들어지는 둥근 수소방울을 영상으로 관찰했다”고 밝혔다. 전기도금은 100년 이상 산업에 이용된 기술이지만 도금 과정의 ... ...
우주로 이사가는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행성을찾으려 하고 있다. 지난 2006 년 12월 27일 프랑스국립우주연구소(CNES)가 태양계 밖을
관측
할 수 있는 위성인 ‘코로(COROT)' 를 쏘아올리는데 성공했고, 미국항공우주국(NASA)도 2007년 발사를 목표로 1m급 우주망원경인 ‘케플러’ 를 준비하고 있다.Where? 어떤 집에서 살까?자, 어떤 행성이 마음에 ... ...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또는 함수의 집합이다F W 아르켈란더가 독일의 본 천문대의 지름 72mm 망원경을 사용하여
관측
가능한 모든 항성의 위치와 밝기를 기록한 성도와 성표 1859~86년에 걸쳐 출판되었다 경도(經度)를 기산(起算)하는 기점이 되는 자오선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므로 그리니치 자오선이라고도 하며 보다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가 보았어.우주측지연구소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IGS(국제위성항법장치
관측
망)으로, 전세계적으로는 3번째로 지정된 IGS 국제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전세계의 GPS 정보를 수집하고 이것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다. 현재 IGS 국제데이터센터는 미국에 두 곳, 프랑스에 한 곳, ... ...
전쟁에 지면 달력도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만드는데 필요한 역법을 말한다.달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태양과 달의 운동을
관측
해 1년과 1달의 길이를 정확히 정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1태양년의 길이는 달력에 쓰이는 모든 계산의 기초다. 칠정산에서는 ‘세실소장법’이라고 해서 1태양년의 길이를 100년에 0.0002일씩 ... ...
우주 김치는 얼마나 맛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개발 한반도 대기와 해양
관측
고에너지 우주입자
관측
과 반도체 망원경 테스트 우주선 소음 방지 귀마개 테스트 분자 메모리 테스트 우주저울 테스트 우주용 한국 전통음식 ... ...
[천문우주]태양계 밖 외계행성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연구팀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스피처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웁실론 안드로메다 b를
관측
한 결과 4.6일 주기로 적외선의 밝기가 행성의 위치에 따라 변했다. 별빛을 받는 뜨거운 면이 지구를 향할 때는 밝게 빛나지만 반대편이 지구를 향할 때는 상대적으로 어두워졌다. 행성의 낮과 밤의 온도는 ... ...
1. 우주 최대 난제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살고 있는 시기는 진공에너지가 물질보다 3배 정도 우세해 우주가 가속팽창하는 모습을
관측
할 수 있는 적절한 때다. 김 교수는 “만일 물질끼리 잡아당기는 중력이 진공에너지의 반발력보다 더 큰 시기에 살았다면 우주를 가속시키는 진공에너지를 발견하기 힘들었을 것”이라고 밝혔다.당신이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