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d라이브러리
"
바깥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의 끝은 1백80억㎞ 너머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발생, 초속 수백㎞로 태양계 밖으로 멀어져가는 전기를 묶은 미립자인 태양풍이 태양계
바깥
쪽에 존재하는 성간물질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고로 이 전파가 발생하는 부근이 태양계의 끝이라는 이야기가 된다.앞으로도 비행을 계속할 보이저는 단순계산으로 26년 후인 서기 2019년에서 2027년 ... ...
'꿈의 열차' T테 G제 V베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붙은 것은 그만큼 동남선에 비해 성능 향상이 이루어졌기 때문. 본격적으로 TGV가 프랑스
바깥
으로 진출하기 시작한 것도 아틀란틱호의 개발과 함께였다.아틀란틱호는 동력원으로 SCS(SeIf Commutating Synchronous) 엔진을 채택해 더욱 강력해졌고 모든 장치를 네개의 대차엔진에 집결해 유지비를 절약하도록 ... ...
금성 목성 토성 어떻게 관측하나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태양에서의 위치관계에 따라 지구의 궤도보다 안쪽에 있는 수성 금성을 내행성이라 하고
바깥
쪽에 있는 화성 목성 토성 등을 외행성이라 한다.수성 금성 지구 화성과 가장 밖에 있는 명왕성 등 5개의 행성은 크기와 질량이 비교적 작고 밀도가 크지만,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은 이와 반대이다 ... ...
우주의 나이 어떻게 재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전환된다. 이러한 화학조성의 변화는 별의 내부 구조를 변화시키며 결과적으로 별의
바깥
부분은 급격히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별의 표면온도는 감소하게 되는데, 천문학자들은 이러한 상태를 적색거성 단계라고 부른다.현재의 태양이 앞으로 약50억년후 적색거성으로 진화하면 그 반지름은 ... ...
시조새는 날았을까 걸었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높은 체온은 그들에게 격리된 생활을 가능하게 했다. 파충류의 비늘은 돌출부와
바깥
절연층에서 새의 깃털로 형성됐으며 파충류의 비늘과 새의 깃털은 모두 단백질인 케라틴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파충류와 새들의 밀접한 관계는 독일 바이에른 지방 졸른호펜의 폴라텐칼켄에 소장돼 있는시조새 ... ...
지구과학- 1회 방전량은 중규모 발전소의 발전량에 해당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되기 때문이다. 구름내부의 흐름은 불규칙해서 소용돌이가 많이 생기고 이 소용돌이는
바깥
의 공기를 구름 내부로 빨아들이는 것이다. 만약 (나)와 같이 뾰족한 모양의 구름이 있다면 구름은 점차 작아져 소멸될 것이다. 그러나 구름은 확산돼 없어지는 것이지 작아져 소멸되는 것이 아니다.커 가는 ... ...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21세기 미래상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과정이 포함돼 있다.마지막으로는 인체의 사령부인 뇌속을 들여다보고 시신경을 통해
바깥
세상으로 빠져 나온다. 눈을 빠져 나온 카메라는 엑스포장 상공을 거쳐 한반도를 조명하고 마지막으로는 지구의 모습을 비춰준다.자연생명관의 포스트쇼 주제는 '바이오토피아의 세계를 통해 보는 인류의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해왕성 충태양계의 8번째 행성이지만 현재 태양계의 가장
바깥
에서 공전하고 있는 해왕성의 충이 이달 12일 12시다. 이때의 광도는 7.9등급 정도이고 시직경은 2.5초다. 8등급 이상의 별이 나와 있는 성도를 펼쳐놓고 어두운 별들을 하나하나 대조해 보면 성도에 나와 있지 ... ...
생물- 하루에 4∼6회씩 오줌을 누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퇴화하며 대신 중신이 발달한다. 중신도 후신의 발달에 따라 퇴화해 간다.신장의 구조는
바깥
층인 과립상의 피질과 내층인 수질로 구성되어 있다. 신장의 기능적 최소 단위인 네프론(nephron)은 피질로부터 수질쪽으로 배열돼 있다. 한쪽신장은 약 1백만 개, 양쪽에 2백만 개의 네프론으로 구성돼 있다. ... ...
슈퍼컴퓨터로 초대륙 판게아의 해체 모습 재현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를 일으켜 열점(熱点)을 만드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이는 대륙을 안쪽(초대륙의 뒷쪽)에서
바깥
쪽(바다 방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담당한 듯하다. 시뮬레이션에서 나타난 열점이 대략 현재의 그것들과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는 점도 흥미롭다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