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d라이브러리
"
반
"(으)로 총 2,507건 검색되었습니다.
체르노빌 10년, 고통받는아이들 신종에이즈 발병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의료 분야에 종사하고 있었는데, 사고 후 정부 명령에 따라 핵발전소 구역에서 한달
반
가량 일했다고 한다.프랑스 TV에 소개된 '체르노빌' 기획에 참여한 한 사람은 체르노빌 어린이 학교를 방문한 경험을 전해 줬다. 학생들의 대부분은 두통을 앓고 있었다. 그중 일부는 한달에서 석달 간 병원에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이때가 지나면 혜성이 태양에 매우 가까워지고 그 위치도 남쪽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북
반
구에 속한 우리나라에서는 관측이 어렵다. 꼬리 관측도 가능혜성의 밝기와 꼬리 모양은 너무나 많은 변수를 갖고 있어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 대략 유추해 보면 4월의 햐쿠다케혜성은 약 2등급대의 밝기를 ... ...
빛을 기록하는 인류 최대 발명품 CAMERA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초점이 맞는지를 확인하고 렌즈를 다시 조정하는데 0.32초가 든다. 그러므로 셔터를
반
쯤 눌러 자동초점 기능을 작동한 후 최소한 1초 이상 기다렸다가 마저 셔터를 눌러 줘야 초점이 제대로 맞는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사물이 움직이거나 카메라가 흔들리만 안된다. ... ...
4
반
세기의 발자취 KAIST사람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KAIST가 문을 연지 올해로 25년이 된다. 71년 홍릉에서 한국과학원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해 81년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와 병합하면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라는 이름을 달게 됐다. 89년에는 한국과학기술대학을 통합하면서 KAIST는 대학원 중심·연구중심 대학으로 면모를 일신한다. 전원기숙사 생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KAIST에 3명이상 입학시킨 실적이 있는 고등학교를 다니는 학생이 지원할 수 있는데 일
반
고 졸업예정자인 경우 성적이 상위 3%이내이어야 한다.KAIST 졸업95년 4월까지 배출한 졸업생은 학사 6천2백34명, 석사 8천7백1명, 박사 2천3백18명이다. 20대박사는 1천57명으로 박사 취득자의 48%를 차지하고 있다. ... ...
2. 특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일어나지 않는다. 어떤 사람이 과거로 돌아갔다. 자신이 태어나기 전의 부모가 그를 보자
반
가운 나머지 충격으로 사망하고 말았다.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다면 그는 어떻게 태어날 수 있을까. 인과율을 무시한 일은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과거로 돌아갈 수 있다는 가정이 잘못된 것이다. 상대성이론을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찾아 균형적인 연구가 이뤄지도록 해야한다. 국가가 균형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반
드시 필요한 분야를 찾고 어느 정도 연구가 진행되면 다른 연구기관에 과제를 넘겨주는 발빠른 연구행보를 해야한다. 이런 연구분야의 설정을 위해서는 정부와 정부산하의 정책부서와도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해야 ... ...
3. 지능측정의 허와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젊은 시절과 비교해서 도형을 인식하거나 기계를 움직이는 동작성 능력은 떨어진다.
반
면에 상식같은 언어성 능력은 오히려 증가한다.연세대 심리학과의 윤진 교수는 "지적 능력, 즉 언어 수리능력에만 제한되던 지능의 개념이 이젠 감정이나 행동의 동기까지 지능의 한 요소로 확대되고 있다"고 ... ...
애인 잡아먹는 비운의 암거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했다. 모든 알을 수정하기에 충분한 수컷이 있었음에도 3분의 1이상의 암컷이 겨우
반
정도의 알밖에 수정하지 못했다.이렇게 동족을 잡아먹는 행위가 암컷이나 수컷 모두에게 이득이 없다면 왜 그들은 그런 짓을 할까?이런 현상은 암컷이 어릴적에 왕성했던 식욕이 성년이 돼서도 남아있기 ... ...
2. 남극의 생태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걸러먹는 수염고래와 돌고래처럼 이빨을 가진 이빨고래 등 두 종류가 있다.바다의
반
은 크릴 동물성플랑크톤으로 ‘남극새우’ 라고 부른다. 몸길이는 5-7cm. 단백질과 영양분이 풍부해 미래의 식량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불소냄새가 나 먹기에 거북하다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