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공계 잡터뷰] 약국 근무 약사의 하루, 상담부터 공부까지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어서 오세요. 약국입니다.”한 손에는 처방전을 든 채 문을 열고 들어온 환자를 맞으며 인사를 건넨다. 일반인은 알아보기 힘든 질병코드와 ... 신 씨는 “약사는 의약품 전문가인 만큼 단지 약을 판매하는 직업이 아닌 올바른 약 사용법과 지식을 전달하는 역할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 ...
- [특집] 세상을 말하는 숫자 빅데이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어떤 날씨에, 어디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할지 예측하죠. 데이터는 ‘숫자’라는 언어를 사용합니다. 숫자가 있어야 이 세상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담아낼 수 있거든요. 속도를 나타내는 숫자가 없다면 “가장 빠른 동물은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모든 동물을 모아놓고 동시에 ... ...
- [똥손 탈출!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허니콤 종이로 감사의 마음을 전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무게는 가볍지만 튼튼하다는 장점이 있죠. 그래서 종이꽃, 장난감 등 다양한 만들기에 사용돼요. 그런데 왜 하필 벌집 모양을 본떴을까요? 벌집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방 하나하나가 육각형 모양이에요. 왜 그런 모양인지는 오랫동안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였죠. 1964년 헝가리 수학자 라슬로 페예시 ... ...
- [수학뉴스] 승마 경주에서 우승하는 필승 전략은?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빠른 속도와 순발력으로 세계에서 경주마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말의 품종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체력이 좋은 서러브레드라도 달리는 동안 계속해서 최고 속도를 유지할 수는 없습니다. 경주가 단거리인지 장거리인지에 따라 전략적으로 속도를 조절해야 우승할 수 있죠.아만딘 아탈리온 프랑스 ... ...
- [특집] 취향저격수가 되는 첫걸음 ‘벡터’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평소 사용하는 검색과 영화, 동영상, 쇼핑 서비스에 AI가 숨어 있고, 알고리듬으로 작동한다니 놀랍지? 그 알고리듬의 핵심은 수학이야. 그 중에서도 가장 기초가 되는 ... 내놓습니다. 이런 식으로 기계학습 알고리듬은 벡터로 학습한 정보를 연산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답니다 ... ...
- 영재교육 전문가도 깜짝 놀란 ‘궁극의 질문’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질문은 이미 과학자들이 활발히 연구하는 주제다. 시멘트 공장에서는 플라스틱을 연료로 사용해 시멘트를 만들고, 식물학자들은 식물이 화학물질로 소통하는 방식을 밝혔다. 비판적 사고방식이 인상적인 수학 질문최종 선정한 수학 질문에 대해서는 폴리매스 문제를 출제하는 오병권, ...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에 생동감을 더하는 보색 대비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준 사례를 오른쪽 사진에서 살펴보세요. 여러분도 관심 있는 게임에서 보색 대비를 사용한 다양한 사례를 찾아보고 어떤 느낌을 주는지 생각해 보세요! 그 내용을 ‘폴리매스 홈페이지-게임 디자인 씽킹’ 게시판에 올리면 추첨을 통해 선물을 드립니다 ... ...
- [섭섭박사의 마이랩@홈] 어떤 동전이든 척척 가려내지! 동전 분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인식 기능을 추가했어요. 하지만 500원에 흠집이나 구멍을 내어 무게를 줄인 뒤 500엔으로 사용하는 범죄가 계속됐죠. 그래서 2000년 우리나라 관세청에선 일본에 500원을 갖고 입국하지 말라고 경고를 하기도 했어요.일본은 결국 2000년부터 양은 재질로 바꾸어 500엔 동전을 발행했어요. 동전의 재질이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화석, 항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fodere’에서 유래했어요. 땅속에서 파낸 물건이란 의미였지만, 지금은 더 넓은 의미로 사용해요. 화석은 약 40억 년 전부터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약 1만 년 전까지인 지질시대 생물이 지층에 남긴 흔적이에요. 지질시대에 살았던 생물의 유해뿐만 아니라 발자국처럼 생물이 남긴 흔적, 생물을 ... ...
- [과학뉴스] 청설모도 이웃과 사이좋게 지낼수록 오래 산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서로의 영역을 인정하게 돼, 영역 다툼을 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짝짓기나 먹이 수집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시라쿠사 연구원은 “청설모가 이웃과 사이좋게 지내며 생존확률을 높이는 모습은 끊임없이 경쟁하는 인간에게도 교훈을 준다”고 말했다. doi: 10.1016/j.cub.2020.10.07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