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알 수 없다화석인류를 발견하면 그 지층의 위아래 층과 비교해 연대를 추정한다. 위아래 층에 연대가 밝혀진 화석이 있다면 새로 발견한 화석의 연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방법으로는 이 화석인류의 연대를 알 수 없었다. 층층이 가지런히 쌓여 있는 지층에서 찾은 것이 아니라, ... ...
- [생활] 지도 위의 세상을 만나러 고고씽~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수 있어요. 이때 1:50,000은 지도상에서 1cm의 거리가 실제로 50,000cm를 나타낸다는 뜻이에요. 아래와 같이 막대자를 이용해 표기하기도 합니다.이제 같은 지역을 서로 다른 축척으로 나타낸 여러 지도를 살펴봅시다. 축척에 따라 어떤 지도는 매우 자세하게 볼 수 있기도 하고, 어떤 지도는 자세하지는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에 발표된 논문➊(goo.gl/HYHQIG)을 보면 이유는 세 가지다. 먼저 실험실처럼 통제된 조건 아래 숙주를 장기간 연구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다. 박쥐가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통제한 다음 필요할 때만 바이러스를 주입해야 한다. 엄청난 설비가 필요한 일이다. 야생동물에 대한 이해 자체가 ...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론, 즉 궁극의 이론은 어디에 있을까.뉴턴의 가장 위대한 업적은 달 위의 세계와 달 아래의 세계에서 통하던 법칙을 통일한 것이다. 덕분에 고대 그리스부터 중세 유럽의 대학까지 강력한 영향을 미쳤던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자연철학(지상계와 천상계는 구성요소와 기본 법칙이 다르다)을 극복할 ... ...
- [생활] 백제의 흔적을 찾아 나선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윗부분은 좁고 아랫부분이 넓어 안정감을 주는 동시에, 기둥을 수직으로 올렸을 때 아래에 비해 윗부분이 크게 보이는 착시현상을 교정할 수도 있어요. 그리고 얇고 넓은 지붕돌은 약간의 경사를 둬 빗물이 떨어지는 면(낙수면)을 만듭니다. 지붕의 1/10 지점에서는 끝을 살짝 올려서 경쾌하면서도 ... ...
- 칼레이도 사이클로 만드는 정육면체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된 것과는 달리, 인버터블 큐브의 한 면은 직각삼각형이다. 인버터블 큐브의 전개도는 아래 순서에 따라 직접 그릴 수 있다. 이제 인버터블 큐브를 이용해 정육면체를 만들어 ...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장관을 맡을 수 있지만, 조선시대엔 그렇지 않았다”며 “호조를 이끌기 위해선 아래 관원들보다 산학을 잘해야 한다는 사상이 박혀있었다”고 말했다. ‘구수략’이라는 산서를 집필한 최석정은 영의정을 8번이나 한 대표 문인이다.당쟁에서 이기기 위해 산학을 공부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가장 ...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느끼는 부담감이 가장 클 것”이라고 말했다.그래서 저자권 문제는 아직도 수면 아래 있다. 2013년 2월 브릭에서 이용자 10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 연구윤리 문제 중 저자권(authorship) 때문에 고민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41%). 반면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대부분 개인적 차원에서 ... ...
-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변수를 그 변수의 역수(곱해서 1이 되는 수. x의 역수는 1/x다.)로 모두 바꾸면 가닥의 위아래를 모두 뒤바꾼, 거울속 매듭의 식이 된다. 원래 매듭의 존스 다항식과 거울에 비친 매듭의 존스 다항식이 다르면 원래 매듭을 아무리 움직여도 거울 속 매듭으로 만들 수 없다. 모든 매듭을 구분할 수 있는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같이 놓으면 전부 같은 박자를 가지고 움직이게 되는데, 이것 역시 동조 현상이다(왼쪽 아래 QR 코드 참조). 사람도 메트로놈처럼 외부에서 강렬한 리듬의 음악이 들려오면 그 리듬에 맞춰 몸을 움직이게 된다. 리듬이 강한 음악을 들으면 그 리듬에 맞춰 어깨가 저절로 들썩이는 게 그 예다.김영실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