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심쿵하는 가을,요리로 마음을 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선선한 바람이 부는 가을, 섭섭박사님은 좋아하는 친구에게 마음을 전하기로 용기를 냈어요. 11월 11일, 빼빼로데이에 직접 만든 빼빼로를 선물해서요. 요리 ... 뒤 실험 사진을 어과수 홈페이지 에 올려 주세요. 응모해 준 친구들 중 멋진 사진을 뽑아 선물을 드립니다 ... ...
- [기획] 물리학상 vs 역학상 사람들이 안 부딪친다 vs 부딪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거리를 유지했어요. 그리고 서로 부딪칠 위험이 있는 경로로 걸어가던 9000쌍의 보행자 중 약 0.4%인 40쌍 만이 실제로 부딪쳤죠. 연구팀은 사람들이 앞에 있는 사물을 눈으로 보고 피하는 ‘장거리 힘’, 그리고 근처의 사물과 접촉을 피하려고 하는 ‘단거리 힘’ 때문에, 원래 가려던 경로를 수정해서 ...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kids.dongascience.com)의 ‘어과동-와르르 선물터’에 비밀댓글로 정답을 남겨 주세요. 당첨자 중 2명을 뽑아 과학동아천문대 입장권을 드립니다. ※ 이번 퀴즈의 정답과 당첨자는 12월 1일 어과수홈페이지 선물터에서 공개할 예정입니다. 2021 제11회 별빛미션 누리호에 실어 우주로 보내고 싶은 ... ...
- [특집] 공룡 발자국 1만여 개가 한자리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약 8000개의 발자국이 수각류●의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김경수 교수는 “아직 연구 중이지만, 2~40cm의 다양한 크기를 가진 최소 다섯 종 이상의 육식공룡 발자국이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공룡 발자국이 예쁘게 보이는 시간은 해가 기우는 오후 4시 이후입니다. 그림자가 짙게 생겨 발자국이 ... ...
- [기획] 거꾸로 하늘을 나는 코뿔소?! 동물들과 함께하는 이그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실험한 결과, 코뿔소들은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도 숨을 아주 잘 쉬었습니다. 실험 과정 중에 잠들었을 때도 말이죠! 과학자들과 수의사들은 이미 이 방법으로 코끼리도 옮기고 있답니다. Q코뿔소의 눈을 가린 이유가 있나요? 코뿔소는 자신이 날고 있다는 사실을 알까요?마취된 코뿔소들은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슬기로운 디지털 발자국 관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근무하고 있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교재를 다수 집필하였다. 사람들이 디지털 나라 여행 중 미로에 빠지지 않도록 길잡이의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우수 미션 참가자를 소개합니다!•이호정(hojeongi0203)CCL 미션 수행합니다! 제 방에서 밤에 찍은 사진을 공유합니다. 너무 예쁘죠?저작원은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태양계에는 8개의 행성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어요. 이 태양계 행성은 물리적 특성에 따라 크게 두 분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로 수소나 헬륨 같은 가스(기체)의 형태를 주성분으로 하는 목성형 행성과 딱딱한 암석과 금속처럼 비휘발성 ... ...
- [특집] 밝혀라! 어린이가 재난에 취약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생각을 했어요. 지진 이후 소리에 매우 예민해져 작은 소리에도 거부감을 느끼고, 수업 중 뛰쳐나가는 돌발행동도 한다더라고요. 꾸준한 상담과 치료로 여전히 소리에 민감하지만, 잘 자고, 학교생활도 잘 적응하는 모습을 보여 다행이었죠. Q보통 어떤 방법으로 트라우마 치료를 하나요? 이미선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연못 옆 동굴, 누가 깎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지질학 교수)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강원대학교 지질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 IUCN 세계자연유산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있다 ... ...
- [가상 인터뷰] 활활~! 고온이 고세균 장수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환경에 잘 적응해 사는 걸로 유명해. 나는 열을 잘 견디는 호열성 고세균으로, 고세균 중에서도 주로 온천이나 열수 분출구와 같이 온도가 100℃ 가까이 되는 곳에서 살지. 참고로 염분에 강한 고세균 친구들도 있어. 이런 특성 때문에 많은 과학자는 극한의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는 고세균의 유전자를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