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현지
장식띠
지점
작업장
공사장
곳
d라이브러리
"
현장
"(으)로 총 2,615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은 어떻게 통증을 느낄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것이다. 우리는 도로 저편에서 달려오는 자동차 불빛이 너무 강하면 눈을 찡그리고, 공사
현장
을 지나다가 소음이 심하면 귀를 막는다. 자칫 잘못해서 무거운 물건이 발등에 떨어지면 아파서 급히 발을 빼낸다.피부의 주 기능은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몸안의 조직을 보호하는 것이다. 통각은 피부의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어렵게 됐다. 별의 탄생과 죽음뿐 아니라 천체들이 서로 먹고 먹히는 처절한 약육강식의
현장
까지 똑똑히 보게 됐기 때문이다. 물론 맨눈이나 배율만 높여주는 일반 망원경으로 이런 장면을 본 것은 아니다. 사람의 눈은 볼 수 없는 X선을 감지하는 찬드라 X선 망원경이 포착한 영상을 통해서다 ... ...
전자제품 연쇄 폭발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떠올렸다. 클린턴 대통령이 묵을 호텔 지하에 설치된 대형 보일러가 폭발한 것. 폭발
현장
은 테러로 의심할 정도로 참혹했다. 당시 경호관계자들을 긴장시켰던 이 사고는 결국 보일러 결함 때문에 일어난 폭발로 결론이 났다. 대형 건물의 난방용 보일러다 보니 용접한 곳이 많았고 이 때문에 약한 ... ...
갯벌은 숨쉬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부는데 약 1만5천년에 걸쳐 사구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충남 해안으로 종종
현장
학습을 나온다는 김철회 교사는 “원래는 해변 전체가 잘 발달된 해안사구였다”며 “저렇게 사구 중간에 건물을 짓고 나서 모래가 쓸려 내려갔다”며 남쪽의 해수욕장을 가리킨다. 건물이 바람을 막아 ... ...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최재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이는 없을 것이다.동물행동학자 최재천 서울대 교수. 그는 실험실 밖에서 연구하는 ‘
현장
형’학자이자 사회문제에 관심 많은 ‘사회 참여적인’ 학자다. 지난 2월 최 교수는 오랜 인문학적 잣대 속에만 묶여있던 호주제 폐지 논란에 과학의 메스를 들이댔다. 호주제 존폐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교실에 틀어주는 방법도 연구될 수 있다. 특히 수많은 소음성 난청환자를 양산하던 산업
현장
은 이런 소음제거기술과 음질개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쾌적한 작업환경으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소음이 듣기 좋은 화음으로 들릴 때가 올 날이 그리 멀지 않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래 ... ...
KT대표이사 사장 이용경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활동하고 있다.특히 이 사장은 청소년에게 도전정신과 창의성이 절실하다는 사실을 연구
현장
에서 중요하게 느꼈다고 말한다.“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원 수강이나 과외 공부로 많이 시달리는데, 이들에게 새로운 것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성세대가 어떻게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정부는 올해 안에 노벨 과학상 수상자 등 해외 우수 과학자 1백10명을 초빙해 산학연 연구
현장
에 투입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이달 말까지 국내 대학 출연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유치 신청을 받겠다고 발표했다. 이 계획안에 러플린 교수 영입 문제가 걸려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러플린 교수는 지난 4월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색상인 분홍빛을 어느 정도 드러내고 있었다. 하지만 2003년 울릉군청의 지원으로 실시된
현장
수중탐사에서는 연안의 암반 위는 대부분이 우윳빛으로 확산돼 있었다. 무절산호조류도 분홍색 색소가 탈색된 채 허연 석회질 덩어리로 변한 상태였다.독도는 울릉도에서 92km, 육지(포항)에서 약 2백67km ... ...
"인간을 중심에 둔 과학만이 인류의 미래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셈이다.브로노우스키는 인간이 자신의 지평을 끊임없이 확대하고 또 반대로 파괴하는
현장
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20세기의 ‘자연철학’ 을 도출해내고 싶었다고 한다. 그는 “자연의 이해는 인간 본성의 이해를, 그리고 자연 안에서의 인간 조건의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고 생각했다.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