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뉴스
"
박사
"(으)로 총 7,33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 고성능 비불소계 전해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28
비해 매우 우수한 전기화학적 성능을 제공했다. 이번 연구 논문 1저자인 김준욱 KAIST
박사
과정생은 "기존 소듐 전해질의 필수 원소였던 불소 없이도 불소계 전해질의 성능을 상회하는 전해질을 개발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ˮ 라며 "앞으로 비불소계 소듐 전해질과 그에 따른 고체-전해질 계면에 관한 ... ...
'공 굴리며 좋아했지'…호박벌도 놀며 즐길 줄 안다
연합뉴스
l
2022.10.28
놀이 행동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Samadi Galpayage 제공 동영상 캡처] 논문 제1 저자인
박사
과정 대학원생 사마디 갈파이지는 "호박벌들은 이 '장난감'에 계속 달라붙어 놀았다"면서 작은 몸집과 두뇌에도 초보적이기는 해도 다른 큰 동물들처럼 일종의 긍정적 정서 상태를 경험하는 듯하다고 했다. ... ...
마구 변형해도 전기 통하는 신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큰 변화가 없어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할 수 있다. 존 앤더슨 미국 시카고대 화학과
박사
후연구원은 "전자장치의 표면에 스프레이로 뿌리거나 페인트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 ...
암 진단·치료 한번에...나노바이오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이경관
박사
과정생, 김춘태 연구원, 이창수 책임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팀이 몸 속 암 세포를 발견하면 신호를 뿜어내는 동시에 빛으로 암 세포 사멸까지 유도하는 나노바이오 소재를 개발했다. 이창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과 이상천 경희대 교수 연구팀은 암 진단과 ... ...
코로나 변이 거듭될수록 효과 커지는 치료제 후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hACE2 수용체 모방 하이브리드 중화제 개발 과정.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바이러스 변이에 스스로 적응해 더 강한 효과를 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 ... 26일(현지시간) 게재됐다. 왼쪽부터 오승수 포스텍 교수, 이민종 포스텍 석·
박사
통합과정생 연구원. 포스텍 ... ...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교수, 대한내과학회 신임 회장 취임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김 교수는 고려대 의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대한감염학회 이사장, 대한인수공통감염병학회 회장, 메르스대응 민관합동공동위원 및 국무총리 특별보좌관 등 감염병 관련 학회 및 정부기관에서 여러 보직을 지냈다. 현재 ... ...
뇌 절반 제거해도 단어와 얼굴 인식 가능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6
선택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마이클 그래노베터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박사
후연구원은 "뇌의 절반을 잃어도 기능의 절반을 잃는 것은 아니다"라며 "반구절제술이 어떤 영향을 줄 지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지만 환자들에게는 고무적인 결과"라고 말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은 신학에서 어떻게 독립했을까
2022.10.25
예병일. 연세대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해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에서 전기생리학적 연구 방법을,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 원주의과대학에서 16년간 생화학교수로 일한 후 2014년부터 ... ...
한국인 유전체 대규모 분석해 유전질환 가능성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4
분석(GWAS)을 수행했다. 오른쪽은 논문의 제1저자인 남기성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학과
박사
과정 연구원이다.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한국인 대규모 유전체를 분석해 유전자와 표현형의 연관성을 122개 새롭게 찾아냈다. 'A유전자를 가지면 쌍커풀이 생길 확률이 높다'는 식으로 특정 유전자가 ... ...
호랑이는 사람과 공존해 멸종 피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4
늘리는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논문의 저자인 재커리 아미르 퀸즈랜드 생명과학과
박사
과정 연구원은 "일부 대형 포유류가 인간 근처에서 살며 멸종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라며 "인간 정착지에 가까울수록 국립공원 등에서 실시하는 생태계 보전의 노력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