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뉴스
"
식물
"(으)로 총 2,129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건강해야 심장도 튼튼… 돌연사 막으려면 뇌 건강 살펴라
2015.01.13
주자가 갑자기 운동장에 쓰러졌다. 국가대표를 지내기도 한 전도유망한 타자는 그대로
식물
인간이 되어 10년 후 하늘나라로 떠났다. 롯데자이언츠 임수혁 선수의 이야기다. 당시 임 선수를 쓰러트린 병명은 ‘부정맥’이다. 심장의 전기적인 신호에 문제가 생겨 박동이 불규칙하게 이루어지는 병을 ... ...
LED가 조명인줄만 아셨던 분, 이것 좀 보세요!
2015.01.09
쓰일 만큼 광 치료는 발전을 거듭했다. 광 치료의 원리는
식물
과 크게 다르지 않다.
식물
이 엽록소를 통해 빛을 흡수한다면 사람은 세포 속 색소포(chromophore)나 광 수용기가 빛을 흡수해 세포의 대사활동을 촉진시킨다. 문제는 이런 세포조직이 분포된 위치가 다르고, 빛 또한 파장에 따라 침투할 ... ...
나미브와 타이탄의 기막힌 만남
2015.01.04
예상치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식물
의 잎사귀처럼 보이는 그림이 실렸다. 이 잎사귀의 정체는 사람의 피부를 뚫는 모기의 ‘침’이다. 표지 그림의 주인공은 말라리아를 옮기는 모기인 ‘아노펠레스 감비아(Anopheles gambiae)’. 이 모기의 입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같다. 1928년 영국 슬라우에서 태어난 피터 말러(Peter Marler)는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에서
식물
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런데 스코틀랜드의 숲을 조사하다가 되새의 지저귐이 지역마다 다르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했다. 결국 나무에서 나무에 사는 새로 관심을 옮긴 말러는 케임브리지대에서 ... ...
감자에 싹이 나서 잎이 나서 훨훨훨, 과정 보니…
2014.12.29
분비되면 전사억제인자가 사라지면서 전사인자의 활동이 시작됐다. 서 교수는 “
식물
생장호르몬의 작동 원리를 밝힌 만큼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 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15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살인진드기’ 전멸시키는 물질 드디어 발견
2014.12.18
뛰어났다. 전북대 제공 이 교수는 “10년 전부터 진드기 방제에 효과가 있는
식물
추출물을 찾아왔고 지금까지 2만 종 이상을 실험했다”며 “그 가운데 파극천 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 ...
100만 분의 1초 존재했다 사라지는 화합물의 결정구조 밝혔다
2014.12.16
결합한 것이다. 인체에서 세포를 공격하는 유해물로 알려진 활성산소가 생길 때는 물론
식물
이 광합성을 할 때, 그리고 공장에서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과정 등 다양한 화학반응에서 철(Ⅲ)-수퍼옥소가 발생한다. 하지만 수퍼옥소는 100만 분의 1초라는 찰나의 시간 동안 생겼다가 사라지기 때문에 ... ...
햇빛만 있으면 CO₂로 메탄올 얻는다
2014.12.15
화학 원료인 메탄올을 생성하는 기술을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식물
의 엽록소와 비슷한 활동을 하는 ‘광에너지전환부’를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그래핀(탄소단원자막)을 이용한 광촉매를 이용,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로 불순물이 없는 순수한 메탄올만 ... ...
한국제 만성 폐질환 치료제, 미국서 임상 2상 시작
2014.12.04
오세량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물의약연구센터 책임연구원팀은 우리나라 자생
식물
인 ‘산꼬리풀’에서 발굴한 천연물로 개발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치료제’의 임상 2상 승인을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받아 본격적인 환자 임상연구에 진입했다고 4일 밝혔다. 임상 2상은 약효 ... ...
거대한 아나콘다에게 산 채로 먹혔다가 나온 男, 무슨 일?
동아닷컴
l
2014.12.04
이하 현지시각) 미국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방영되는 '이튼 얼라이브(Eaten Alive)'에서는 동
식물
연구가 겸 작가인 폴 로솔리(27)가 아나콘다에게 산 채로 먹히는 도전에 나선 모습이 그려진다. 로솔리는 지난 여름 특수 제작된 슈트를 입고 몸길이 25피트(약 7.62m), 무게 400~500파운드(약 181~226kg)의 암컷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