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저자"(으)로 총 2,12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앗! 이렇게 작을 수가, 1nm급 반도체 개발2015.02.09
- 안종렬 성균관대 교수(왼쪽)와 제1저자인 송인경 박사(오른쪽) - 성균관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1나노미터(nm)급 반도체가 실리콘 기판 위에서 정상적으로 작동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안종렬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1nm급 반도체 소자를 1cm 크기의 기판 위에 구현하는 데 ...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2015.02.09
- ‘지구에 있는 물의 기원(The Origin of Water on Earth)’라는 제목의 논문이 실렸다. 저자인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 프랑수아 로베르 박사의 설명에 따르면 인터스텔라, 즉 성간우주에 있는 얼음의 D/H비율이 최대 0.01까지로 추정하고 있다. 반면 수소분자의 D/H비율은 이보다 훨씬 낮은 수치다. 46억 년 전 ... ...
- 빙하기-간빙기 반복에 해저지각이…2015.02.06
- 말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박 연구원이 논문의 유일한 한국인 과학자이자 교신저자로, 미국 하버드대와 영국 옥스퍼드대 등 세계 유수의 연구진을 이끌었다는 점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박 연구원은 지난해 12월 30일부터 프랑스 연구진과 함께 프랑스 다목적 연구선 ‘라탈랑트호’를 타고 ... ...
- 도시 속을 걸으며 우주를 공부한다2015.02.01
- 함께 평형대별로 구분되어 있어 전원주택을 지으려는 사람들의 참고자료로 손색없다. 저자는 현재 건설회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전원주택 시공분야에서 활약한 경험을 한 권의 책으로 모았다. 주택 건설과정에 필요한 상식과 건축공학적인 정보 역시 함께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
- [인터뷰] “나는 곧 나의 ‘커넥톰(Connectome)’” 서배스천 승 美 프린스턴대 교수2015.01.30
- 당시 논문에는 아이와이어를 이용한 게이머를 지칭하는 ‘아이와이어러(the EyeWirers)’가 저자로 포함됐다. ●“20년 안에 ‘커넥톰’ 완성할 수도” 승 교수는 이르면 올해 말 ‘아이와이어 2’를 공개할 계획이다. 아이와이어 2는 기존 게임에서 제공되는 시신경 사진보다 해상도가 월등히 높은 ... ...
- [오보카타, 그후 1년] 파면으로 끝난 ‘과학계 신데렐라’2015.01.30
- 여전히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고 말했다. 오보카타 박사의 멘토이자 논문의 공동 교신저자인 사사이 요시키(笹井芳樹) 이화학연구소 발생재생과학연구센터 부소장이 지난해 8월 자살하면서 STAP 세포 날조극은 비극으로 치달았다. 사사이 부소장은 일본 줄기세포 연구의 대가이자 최고의 ... ...
- 아니, 의사 양반 이게 무슨 소리요? 병원이 나쁘다니…과학동아 l2015.01.27
- ‘해독’이나 ‘디톡스’, ‘인체의 자연치유력’이라는 단어를 자주 씁니다. 이 책의 저자도 “수술, 항암제, 방사선을 중단하고 천연 음식, 천일염, 지하수 등과 침, 뜸을 이용해 햇빛을 적절하게 쬐고 가벼운 운동을 곁들이면 모든 암은 쉽게 치료됩니다”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수술, 항암제, ... ...
-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은 과학이 그렸다?2015.01.25
- 입는 것도 깜빡 잊고 외출했으며 말고삐가 없는 말을 타고 달린 ‘덜렁이’였던 것이다. 저자는 그 이유를 “뉴턴이 늘 사색에 잠겨 있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하얀 깃털을 단 모자를 쓰고 붉은색 벨벳 외투에 금으로 장식한 허리띠를 걸치고 파리의 거리를 거닐었던 수학계의 원조 패셔니스타 ...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2015.01.25
- 파장의 빛을 사용하면서도 어느 구멍을 지나는지 알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안한다. 논문 저자들은 양자 얽힘이라는 신기한 현상을 이용하여 이걸 구현한다. 과학동아(일러스트 김정훈) 제공 이들의 아이디어는 “전자를 건드려 교란한 것은 아닌데 어디를 지났는지는 알 수 있다”로 요약할 수 ...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2015.01.19
- 그럼에도 어찌된 영문인지 EMGO방법을 개발한 사람들은 이걸 깜빡했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논문 제목에 ‘피타고라스의 잊힌 교훈(The forgotten lesson of Pythagoras)’라는 표현을 쓴 이유다.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