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스페셜
"
다음
"(으)로 총 2,189건 검색되었습니다.
피할 수 없을 땐 자기합리화?!
2016.07.05
스탠포드 대학의 심리학자 Kristin Laurin과 동료들은 캐나다에 사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다음
과 같은 실험을 했다. 한 그룹에게는 어떤 이유로 자신이 살고 있는 국가, 즉 캐나다에서 벗어나 외국으로 이민을 가는 것이 점점 어려워질 것이라는 글을 읽게했다(탈출 불가 조건). 반면 다른 집단에게는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이뤄진다는 가정을 함으로써 잡종 1세대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처럼 보이는 형질이 그
다음
세대에 다시 나타나는 현상을 멋지게 설명했다. 20세기 중반 들어 유전자의 실체가 명확해지면서 멘델이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다시 반세기가 지나자 그 위상이 ... ...
가진 것이 줄어들수록 보수적이 되는 이유는?
2016.06.28
되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한다. pixabay 제공 연구자들은 미국의 백인들을 대상으로
다음
과 같은 실험을 했다. 실험참가자들을 두 집단으로 나눠, 한 집단은 앞으로 히스패닉 인구가 급격히 늘어 그들이 주류 인종이 될 것이라는 글을 읽게 했다(지위 위협 조건). 반면 다른 집단에게는 인종과 ... ...
당신은 나르시시스트입니까
2016.06.21
‘지나치게’ 사랑하는 나르시시스트 다수의 연구들에 의하면 나르시시스트는
다음
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① ‘내가 최고’같이 비현실적으로 과하게 긍정적인 자기지각을 가진다. ② 자신을 높이려는 맥락에서 남들과 차별화/구분지으려는 시도를 끊임없이 하며 그 과정에서 ... ...
‘도덕적이니까’라는 믿음의 무서움
2016.06.14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어떤 믿음에든지 도덕이라는 두 글자를 갖다 붙일 수 있다.
다음
순간 그 믿음은 강해지고 행동으로 옮기기 쉬워진다.” 개인적으로는 도덕과 원칙 등의 이름으로 선을 행할수도 있지만 반대로 소수자를 자신의 기준으로 쉽게 판단하고 배척해 버릴 수 있는 우리 ... ...
어디서 홈런이 더 잘 나올까?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6.08
4m에 달하는 거대한 구장이다. 단순 규모만 쳐도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야구장)
다음
으로 국내에서 가장 크다. 게다가 고척 스카이돔의 이전과 발맞춰 팀의 중심타자들이 사라졌다. 박병호, 강정호, 유한준이 다른 팀으로 갔다. 2014년에 팀내 홈런 순위 5위를 기록한 이성열은 한화 이글스의 ... ...
귀차니즘을 떨칠 수 있는 심리학적 방법은?
2016.05.31
과제이다. 그리고 문제는 항상 ‘시작이 어렵다’는 데 있다. 한번 하기 시작하면 그
다음
에는 별 문제 없는데 무거운 몸을 움직여 집을 나서 운동하러 가는 것 까지가 고비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없는 의지력을 끌어 모으며 유혹과 가장 힘겹게 맞서 싸워야 하는 것도 이 때이다. ‘오늘까지만 ... ...
실패를 허용하는 부모가 노력하는 아이를 키운다
2016.05.17
능력보다 ‘노력’에 대한 평가(더 열심히 하면 돼)를 내리고, 공부 전략을 조언하고(
다음
에는 이렇게 저렇게 해볼까?) 주변의 도움을 구하는 등 함께 노력하고, 나아지기 위해 어떤 부분을 더 ‘이해’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며 아이가 공부에 ‘흥미’를 잃지 않는 데에도 관심을 보이는 등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
2016.05.16
훨씬 약하게 평가했다. 즉 막대에 표시한 지점이 중앙(중성 감정)에 더 가까워졌다.
다음
으로 얼굴을 보고 ‘슬픔’과 ‘행복함’ 가운데 감정 상태를 선택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테스트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즉 명백하게 슬프거나 행복한 표정에서는 보톡스 수술 여부가 선택에 ... ...
다른 사람은 나에 대해 얼마나 신경쓰고 있을까?
2016.05.03
너무 피곤하고 아무 것도 눈치보지 않고는 혼자서 결정하지 못할 정도가 되었다면
다음
의 사실을 기억해보도록 하자. ‘타인들은 생각보다 우리에게 관심이 없다.’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은 타인들이 자신을 신경 쓸 확률을 과대평가 하곤 한다. 예컨대 특이한 옷을 입고 교실에 들어갔을 때 다른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