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d라이브러리
"
인식
"(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맹인견 대신할 전자눈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카메라가 포착한 영상을 분석하도록 한 것.전자눈의 카메라는 횡단보도의 흰 선을
인식
해 보행자들이 길을 건너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또 신호등 색깔을 감지해 횡단보도를 건너기에 안전한지도 판단한다.연구팀은 전자눈을 부착하고 횡단보도 건너기를 테스트한 결과 198번 중 196번이 성공했다고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표준 자리에 놓여있을 것이다. 즉 언어영역과 운동영역은 좌뇌에, 공간분석영역과 색채
인식
영역은 우뇌에 자리한다. DC형인 사람은 75%인 9개 정도는 제자리에, 3개는 반대 위치에 놓이게 된다. 뇌 구조가 다소 바뀌는 셈이다. CC형의 경우는 대략 절반이 바뀌게 된다. 표준인 DD형과는 뇌 구조가 많이 ... ...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정말 대단해보인다. 그만큼 CERN이 기초과학연구소이면서도 사회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인식
이 돼있기 때문이 아닐까.아이마 소장은 “대중이 우리가 하는 일을 ‘느낄’ 수 있으며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소장은 2가지 방안을 갖고 있다고 한다 ...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중요성은 전혀
인식
되지 못했다. 단지 성운에 어두운 틈새가 존재한다는 정도로만
인식
됐다.말머리성운이 암흑성운으로서 천체물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대상이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깨달은 사람은 유명한 천문학자 에드워드 버나드였다. 오늘날 암흑성운은 별의 탄생과 우주의 기원을 밝히는 아주 ... ...
고전물리학 고집한 현대물리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열렸다.하지만 플랑크는 1906년까지도 자신의 작용양자가 갖는 혁명적 의미를 확실하게
인식
하지 못했다. 다만 그는 자신의 이론으로 인해 원자 상수를 계산할 수 있게 됐고, 이 때문에 전자기학과 원자론의 관련성이 입증됐으므로 원자론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라고만 생각했다. 사실 1907년과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하는데 이때 뇌는 여러 수용체에서 들어온 정보를 종합해 특정한 냄새 정보로
인식
하게 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4 노벨상 따라잡기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2004 엽기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것이다. 즉 직선형 모터의 방향과 속도를 어떻게 조절할 수 있을까? 원하는 짐을 어떻게
인식
해서 모터에 실을 것이며, 어떠한 정보를 이용해야만 원하는 자리에서 짐을 내려놓게 만들 수 있을까? 이처럼 많은 숙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나노과학자들은 고민하고 있다.DNA와 RNA같은 핵산 또한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하나로 선정해 산·학·연 협동연구를 진행 중이다.우리 역시 일찍부터 곤충의 잠재력을
인식
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연구와 산업화를 지원하고 있다. 실제로 누에나 꿀벌의 경우처럼 곤충이 우리 생활에 이용된 사례는 인류역사만큼이나 오래되고 다양하다.최근 한국산 무당거미에서 추출한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내부 표면적은 약 4백m2다. 음식물 성분이 장내로 들어왔을 때 장 점막이 이를 이물질로
인식
해 항체를 분비하면 염증이나 알레르기 같은 면역반응이 일어난다. 이 같은 식품 알레르기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전 인구의 약 10%가 경험하고 있다.필자의 연구팀은 달걀 흰자위의 주요 ... ...
만약 손가락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숫자가 탄생할 수 있었던 발판이 된 것이다.만약 인간에게 손가락이 없었다면 분명 수를
인식
하는 체계가 지금과는 달라졌을 것이다. 손가락이 없는 인류에게 10은 더이상 정상적인 사람의 손가락 개수를 나타내는 표현이 될 수 없고, 손가락의 마디를 꼽으며 12라는 숫자를 셀 수도 없다. 손가락이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