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d라이브러리
"
작용
"(으)로 총 5,102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있다는 점에 착안하게 된다. 여기엔 타운스가 잠깐 일했던 벨연구소에서의 경험이 크게
작용
했다. 당시 벨연구소에서는 회로에 분자를 이용하는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분자 시스템에 들뜬상태의 분자만 남기도록 하는 문제는 자기장이나 전기장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또 그는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2007년에 브레인보우 기법으로 형광단백질 유전자를 쥐에 이식해 쥐 뇌의 시냅스 상호
작용
을 보여주는 지도를 만들었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뇌인지과학과 세바스찬 승 교수는 하드디스크의 정보저장 방식처럼 뇌도 한번 기억된 정보는 사라지지 않고 기억되는 위치도 다르다고 설명한다.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있게 취침 전에 먹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생체시계를 생각하면 약물의 효과나 부
작용
을 검증하는 동물실험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약효가 복용 시간대에 따라 다르다면 주행성 동물인 인간이 복용할 약을 야행성 동물인 생쥐에 투여시켜 그 효과를 제대로 알 수 있겠느냐는 주장이다 ... ...
물! 너를 파헤쳐 보자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질소와 같이 공유전자쌍을 끌어당기는 힘이 큰 원자와 수소가 결합한 극성 분자 사이에
작용
하는 강한 분자 간 인력이다. 물은 분자 사이에 수소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에 분자 간 인력이 매우 큰 것이다.물의 수소결합은 물의 다양한 특성과도 관련이 있다. 호수의 물이 위에서부터 어는 이유, 빙하가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좋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마이크로 디스크 레이저는 빛을 증폭시키는 공명기로
작용
해 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 개발된 레이저 크기는 10μm 수준인데, 앞으로 3~5μm 크기로 줄일 계획이다.고려대 물리학과 박홍규 교수는 광결정과 나노선을 사용해 레이저를 만든다. 나노선은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가서 봐도 마치 서호주 북부지방의 흰 개미집처럼 보인다. 이 돌기둥의 실체는 풍화
작용
으로 땅속 깊이 숨어 있던 석회암 기둥이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돌기둥의 외형은 높이가 3~5m 정도로 뾰족한 봉우리 형태다. 돌기둥을 이루는 석회암은 오랜 기간 얕은 바다 속에서 침전된 탄산칼슘이라는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부위의 지방을 제거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약물이 지방을 감소시키는 과학적인
작용
원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이뿐만 아니라 주사가 지방 제거에 실제로 효과를 보이는지도 연구에 따라 결과가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안전성에 대한 문제도 아직 검증된 바 없다.한편 간단히 복용할 수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냄새, 맛이 없는 데다 끓여도 파괴되지 않으므로 더욱 위험하다.복어 독은 신경계에
작용
한다. 중독되면 식후 20분 내지 수 시간 만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먼저 얼굴색이 창백해지고 입술과 혀끝이 가볍게 마비되거나 구토를 한다. 그리고 손가락과 팔, 다리 순으로 전신이 마비돼 말을 ... ...
한의학으로 본 ‘애가 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흔들어 놓는 안 좋은 기운이다. 이를 방어하기 위해 간의 기운이 왕성해진다. 하지만 이
작용
이 너무 심해지면 간의 기운이 위로 치솟아 오행의 발생순서상 화(火)를 생성한다. 즉 애가 왕성해지다 못해 타들어 가는 셈이다.실제로 걱정을 많이 하면 간의 기운이 너무 왕성해져 열이 발생하는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음파로 바뀔까. 강한 출력의 펄스 레이저광을 소량의 물에 쏴주면 물이 마치 렌즈처럼
작용
해 레이저광을 집광시킨다. 그러면 과열된 레이저광을 흡수한 물이 순간적으로 폭발하면서 증기가 되고 이때 음이 발생한다. 연구진은 220dB(데시벨)의 음을 발생시킬 수 있었다. 앞으로 레이저광의 파장과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