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쿨
학원
배움터
핵교
학당
학겨
핵겨
d라이브러리
"
학교
"(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의료 인력과 시설을 가진 개발도상국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이라며 “베트남의
학교
네곳에서 130명의 학생을 검진해 1차 시험을 마쳤다”고 말했다.㈜힐세리온은 무겁고 비싼 초음파 기기를 대신할 휴대용 초음파 기기를 개발해 베트남, 몽골, 에티오피아 등에 보급하고 있다. 무게가 390g로 매우 ... ...
집중하는 시간이 행복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두 번째 입학생이었어요. 교육 시스템이 새로웠고,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게 많았어요. 대
학교
에서 듣는 미적분학, 선형대수 같은 과목도 들을 수 있었는데, 중학생 때 배운 수학에서는 몰랐던 수학의 엄밀함이 신기하게 느껴졌어요. 수학을 아주 재미있어하는 친구들과 얘기하면서 수학에 더 재미를 ... ...
마음의 소리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벌어진 일이다. 그런데 현실에도 나와 똑같이 생긴 도플갱어가 있을까?호주 애들레이드대
학교
의과대학 박사 과정 학생인 테컨루카스는 환자 4000명의 데이터를 표본 분석해 도플갱어가 있을 확률을 구해봤다. 연구팀은 신체 사이즈와 얼굴 길이 같은 생김새와 관련된 정보를 수치화한 데이터를 ... ...
[QUIZ KING & KAIST] New 회장 선출!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있어 항의가 들어온다. 모든 구간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기에는 예산이 부족하다.
학교
는 과속하는 사람을 잡을 방법을 수학문제연구회에 의뢰했다. 어떤 방법이 있을까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1000명당 독감 의심환자가 86.2명까지 달했고(질병관리본부 2016년 12월 18~24일 기준), 몇몇
학교
는 휴교를 했다. 겨울방학이 되면서 확산세가 한풀 꺾였지만 전문가들은 B형 독감의 유행을 예상하며 예방백신 접종을 권고했다. 당분간 인플루엔자의 위협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인류는 백신과 치료제를 ... ...
Part 3.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그리는 미래
수학동아
l
2017년 02호
소수가 사용하는 언어도 컴퓨터가 번역할 수 있을까. 조성배 연세대
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그런 걸 해보려는 게 구글의 다중언어모델”이라고 말했다. 다중언어모델은 하나의 알고리즘으로 여러 언어를 번역하기 때문에 적은 예시만으로도 좋은 번역기를 만들 수 있다. 조 교수는 “예제가 ... ...
Part 4. 맨틀 속 신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최근에도 지구 밑에서 ‘정체불명의 거대한 덩어리’가 발견됐지요!미국 애리조나주립대
학교
심상헌 교수팀은 지진파를 분석하던 중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어요. 맨틀의 가장 아래쪽 부분에 지진파가 갑자기 느려지는 지역이 있었던 거예요. 지진파가 느려진다는 건 주변과 성분이 다른 물질이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에르되시-버어 추측을 해결하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캘리포니아대
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
학교
에서 3년간 연구와 강의를 했습니다. 2015년 가을부터는 미국 월스트리트의 어느 금융회사에서 일하고 있습니다.이 박사가 푼 문제는 ‘램지 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6명이 모이면 이중 어떤 한 사람은 3명과 ... ...
[Future] 뉴욕 월드 메이커 페어를 가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않던 학생들이 재배를 계기로
학교
에 나와 출석률이 올라갔고, 학업 태도도 좋아져 상급
학교
진학률도 올라갔다. 또 식생활도 개선돼 빈곤 지역의 골치 중 하나였던 영양 부족과 보건 문제도 해결하게 됐다.국제협력에도 영향… “만든다, 고로 존재한다”메이커 운동은 국제협력 분야에도 기여하고 ... ...
[Career] 오뚜기 같은 도시를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교수로 지냈다. 일리노이대는 도시환경공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알아주는
학교
다. 그 좋은 자리를 마다하고 그가 서울대에 부임한 것은 한국 학생들에 대한 애정 때문이었다. “박사 과정과 박사후연구원까지 총 13년의 미국 생활을 접고 한국으로 들어오는 게 쉽지는 않았어요. 하지만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