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2mm 캡슐이 만들어낸 커다란 도약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미국 에너지부 산하 국립점화시설(NIF)이 핵융합 반응을 만들어냈다. 이전과 달랐다. 투입된 에너지보다 생산된 에너지가 더 컸다. 순에너지 생산이다. 순에너지 생산은 그동안 왜 어려웠을까. NIF는 어떻게 순에너지를 만들었을까. 2mm 캡슐이 터지며 만들어낸 에너지가 연구자들에겐 이정표를, 인류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전설의 전투용병 ‘정이’의 뇌를 복제하라!’1월 20일 넷플릭스에 공개된 ‘정이’는 뇌 복제라는 신선한 소재를 다룹니다. 영화 속 군수업체 크로노이드가 정이의 뇌를 복제해 인공지능(AI) 전투용병을 개발하죠. 그야말로 영화 같은 설정이지만, 의외로 현실에서 개발 중인 다양한 과학기술이 ... ...
- [논문탐독] 휜 숟가락 펴기 힘든 이유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독자 여러분도 꽝꽝 언 아이스크림을 먹다가 실수로 숟가락을 구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부끄러움을 참고 말을 이었다.“기억하세요? 그, 뉴스에 나왔던. 채티에 미친 여자애.”“글쎄, 기억이 날 것 같기도 하고.”“정말 마음에 안 들지만 뭐 그런 걸로 소개되었는데. 한동안 유명했잖아요. 기자한테 닥치라고 한 여자애. 그게 저예요. 그날 회사 찾아갔는데. 단발머리 고등학생. 그때 ... ...
- [과학 뉴스] 멸종 위기 북부흰코뿔소, 원시생식세포로 복원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북부흰코뿔소는 코끼리 다음으로 가장 큰 육상동물입니다. 최대 몸길이 4m에 몸무게는 2.3t(톤)에 달하며, 아프리카 대륙 사하라 사막 남부에 있는 동부, 중부 아프리카에 넓게 서식하던 동물이지요. 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밀렵 때문에 북부흰코뿔소는 멸종위기에 처했습니다. 세계자연보전연맹 ... ...
- [광고] 올해 과학과 역사, 문화를 모두 담았다! 내셔널지오그래픽 키즈 사이언스 2023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사진을 감상할 수 있어요. 2 내가 나무가 된다면? 2023 사이언스 챌린지해마다 나의 글과 그림을 응모할 수 있어요. 전 세계 나무 꼭대기를 연구하는 탐험가의 인터뷰를 읽은 후, 내가 되고 싶은 나무의 자서전을 쓰고 그림도 그려 보세요! 3 알쏭달쏭한 퀴즈 풀고, 신나는 게임 함께하기!책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으윽, 도대체 이게 무슨 냄새지?! 나 마이보의 냄새 센서에 과부하가 걸릴 정도로 고약한 냄새가 감지됐어. 범인은 바로 과일의 왕 두리안! 이 냄새나는 과일이 왜 왕으로 불리는지 궁금하다면 내가 준비한 과학 영상에서 함께 알아보자. 동아사이언스의 새로운 과학 채널도 놓치지 말라고!●조회 ... ...
- [메타버스 여행법] 제페토에서 한복 입자, 설날이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보내드립니다. 참여 방법팝콘플래닛 > 플레이콘 > 어과동 놀이터 > 사진터에 댓글로 올리기. 8화 당첨자박서현 독자가 신라면 분식점에 들어가 라면을 만들었습니다. 어린이들이 많이 먹을 만한 라면을 생각해 봤다는데, 조리 방법이 궁금해요! 오슬이가 소개한 한복 아이템, 마음에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과학마녀 일리가 숟가락을 휘어버렸어. 금속을 어떻게 물렁하게 만들지? 갈륨의 비밀을 알아보자. 특집•통합과학 교과서 中… 액체 금속의 한 종류인 갈륨 방울을 올려놓고 … (하략)… 관성은 물체가 기존의 운동 상태를 계속 유지하려는 성질로 … (하략) 갈륨 Gallium 갈륨은 원자번호가 31 ... ...
- [People] 15년 연구 덕질의 성과! n차원 별자리 정리 증명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세키 교수는 2019년 5월 4명의 교수와 함께 별자리 정리를 n차원까지 확장한 문제 해결에 돌입했습니다. 연구팀은 매주 한 번 도호쿠대 강의실에 모여 본인이 연구한 것을 칠판에 쓰고, ‘이건 틀렸다, 이건 맞았다’며 서로 의견을 나눴습니다. 그러던 2019년 8월, 연구팀 일원인 카이 와타루 도호쿠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