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외기
에어
대령
사후
만지기
달기
d라이브러리
"
대기
"(으)로 총 3,322건 검색되었습니다.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레이저를 통해 적응광학 시스템을 업그레이드시키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대기
요동 효과를 알아내려면 관측하고자 하는 목표 천체 주변에 ‘가이드 별’이 꼭 필요하다. 레이저를 하늘로 쏘아 올리면 빛이 고도 90km 층에서 반사돼 돌아오는데, 이 빛이 가이드 별을 대신할 수 있다. 김 ... ...
부팅시간 '0' 탄소나노튜브메모리칩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개발했다. 나노튜브는 컴퓨터가 꺼져도 정보를 그대로 저장하기 때문에 다시 부팅할 때
대기
시간이 걸리지 않으며, 시간이 지나도 정보 저장능력을 잃지 않는다. 이 기술은 10월 4일 ‘네이처’ 온라인 뉴스에 실렸다.이 칩은 실리콘 칩 위의 전극 사이에 작은 다리 모양의 나노튜브가 걸쳐 있는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바로 이 과정을 축소해낸 장비다. 10cm 두께의 텅스텐 20여장을 장착해 우주입자가 40km
대기
층을 통과할 때와 같은 효과를 만들어낸다. 우주입자가 깨지면서 발생하는 빛 에너지의 1%를 얻어 계산하면 입자의 원래 에너지를 추정할 수 있다. 현재 메릴랜드대에서 활동 중인 이무현 박사가 칼로리미터 ... ...
줄의 열의일당량 측정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지하실에 두고 온도 변화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했다.이렇게 준비된 상태에서 줄은
대기
온도와 통 속의 물 온도를 재고 납추를 63인치(약 1.6m) 높이에서 떨어뜨렸고 이 낙하 운동이 가운데 원통 속의 젓개 바퀴를 회전시키도록 했다.그런 다음 추를 감아주는 과정에서 젓개 바퀴가 돌지 않도록 젓개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착륙했던 탐사선은 길어야 한 시간 밖에 견디지 못했다. 유럽우주국은 금성의 두꺼운
대기
층에 떠다니는 미생물의 존재에 대해 주목했다. 산성을 띠는 두꺼운 구름은 미생물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차단제 역할을 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유럽은 금성을 탐사할 비너스 익스프레스를 올해 1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한다 표면에 따라 다른 값을 보인다 식생의 알베도는 맨땅이나 모래의 그것보다 낮다지구
대기
권 내에서 비행 속도가 마하 4 이상인 고속비행을 극초음속비행이라고 말한다 참고로 지구저궤도에 인공위성이 궤도비행을 하려면 마하수가 25정도를 요구하는데 이런 때는 궤도속도 8km/sec라고 표현하지 ... ...
천문학자 울린 샛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관측에 성공했더라도 르장티는 절대로 원하던 관측자료를 얻지 못했을 것이다.금성은
대기
가 두텁게 덮여 있어서 그 경계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다. 즉 금성과 태양이 만나는 정확한 시각을 측정하는 것이 단순한 관측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금성과 태양간의 정확한 거리를 얻기란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일부가 바다 위로 뻗어 나온 덩어리빙붕이 바다로 떨어져 나와 생긴 얼음덩어리산꼭
대기
를 덮고 있는 얼음층바닷물이 얼어 만들어지며 아무리 두꺼워도 1년에 2m 이상 자라지 못한다 바람이나 해류에 의해 이동하면 유빙(pack ice)이라고 부른다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일종 저장 능력이 뛰어나고 데이터 ... ...
지구온난화의 역습 카트리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따뜻한 수증기에서 에너지를 더 얻어 훨씬 강력해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미국 국립해양
대기
청(NOAA) 토마스 넛슨 박사와 올드도미니언대 연안물리해양학센터 로버트 투레야 박사팀은 지난해 9월 15일자 ‘기후저널’에 미래의 허리케인 세기를 예측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화석연료로 인해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잠수함이 부상하기 전에 가장 먼저 수면으로 내놓는 것이 바로 이 잠망경이며, 잠망경 꼭
대기
에는 작은 ESM 장치가 있어 적의 레이더 추적을 미리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요즘에는 잠망경에도 적외선 탐지장치를 달아 야간의 식별 능력을 높이고 있다잠수함은 보통 통신을 외부로부터 받기만 할뿐, ... ...
이전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