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상온 초전도체, 어디에 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한국전력은 초전도 케이블로 전기 에너지를 송전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어요. 초전도 전선이 설치된 곳은 경기도 용인시의 신갈동부터 흥덕지구까지 약 1km 구간으로, 한국전력은 전기 에너지 손실이 10분의 1로 줄어들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답니다. _ 인터뷰한승용 ... ...
- [방탈출 in 스페이스] 어둠 속의 납치자, 블랙홀을 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우주가 이렇게 지루한 데였어?”우주라는 망망대해에서 수연이와 동그리는 12일째 항해하고 있었다. 안전한 우주는 역설적으로 지루하기 짝이 없었다. 동그리가 말했다.“아직 18일은 더 가야 은하 정거장이야. 눈곱 좀 떼고…, 오오옷?!”그때였다! 갑자기 우주선이 흔들리며 물건들이 와르르 ... ...
- AI만 있으면 나도 작곡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Q인공지능 작곡가 AI를 만든 이유는 무엇인가요?평소 음악에 관심이 많았어요. 그런데 곡을 만드는 건 매우 어려웠죠. 저는 작곡을 도와줄 인공지능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러면 저뿐만이 아니라 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곡을 만들 수 있게 될 거라고요. 음악은 우리에게 기쁨을 주기 ... ...
- 독감 백신 주사, 맞아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독감 백신 상온노출 사고 후 백색 침전물이 발견된 데 이어, 백신 접종 후 사망자가 나타나면서 국민들의 공포와 불안이 커졌어요. 그런데 지난 10월 24일, ... 접종을 통해 어린이 독감을 예방한다면, 가족은 물론 사회 전체의 독감 확산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통합교과맵] 어둠 속에서 박에 연결된 폭탄을 제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가짜 폭탄으로 겁만 주고 집에서 쫓아낸 다음 보물을 차지하려는 속셈인 것 같은데요?”꿀록 탐정이 지붕 아래로 내려와 손에 든 폭탄을 보여주며 말했어요. 이를 본 흥부와 아내는 가슴을 쓸어내렸지요.“가짜 폭탄이었다니…! 상상도 못 했네요. 탐정님 덕분에 무사히 해결돼 다행이에요.”거듭 ... ...
- [우주화장실] 똑똑, 새 화장실 배달왔습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사용했지요. 이 두 기구는 동시에 작동이 되지 않는데, 소변과 대변을 함께 처리하는 데 적합한 여성의 신체 구조와는 맞지 않았던 거예요. 새 화장실은 깔때기와 의자를 동시에 쓸 수 있도록 하여 여성 우주 비행사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지요.새 화장실이 우주정거장 트랭퀼리티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동물을 지키는 인조 가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가죽을 얻을 수 있어요. 하지만 인조 가죽은 대부분 잘 썩지 않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데다, 동물 가죽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만큼 사용 기간이 짧아 쓰레기를 늘리는 주범이라는 비판이 제기됐어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버려진 뒤에도 자연에서 쉽게 분해되는 인조 가죽을 만드는 방법이 ... ...
- [만화뉴스] 로봇개, 험한 길도 문제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로봇이 다니기 힘든 눈밭이나 개울, 진흙탕 등에서 1년 가까이 애니말을 시험했는데, 이 기간 동안 애니말은 카메라 없이 오로지 발에 있는 센서와 AI만으로 넘어지지 않고 어떤 길이든 문제없이 이동할 수 있었지요.애니말과 같은 로봇개는 위험한 산업 현장이나 방역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 ...
- [쇼킹 사이언스] 페루에서 길이 37m 그림 발견! 2000년 된 고양이라옹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분 정도만 비가 내리고 바람도 거의 불지 않아요. 석회 토양의 단단함도 그림을 보존하는 데 한몫했고요. 고양이 지상화를 발견한 페루 고고학자이자 나스카문화유산 관리책임자인 조니 이슬라 연구원은 “그림은 기원전 200~100년 사이에 만들어졌다”고 추정했어요. 이 시기 꽃 피웠던 파라카스 ... ...
- [한 장의 과학] 왜곡된 별빛을 찾아라! ‘나홀로 행성’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우주에는 밝혀지지 않은 다양한 이유로 중심 별의 중력이 닿지 않는 곳으로 튕겨 나가 우주 공간을 떠돌게 된 ‘나홀로 행성’이 있어요. 이 나홀로 행성을 ... 작은 나홀로 행성들을 연구하면 우리 태양계가 어떻게 형성됐고 진화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