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d라이브러리
"
결론
"(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자의 일기]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의 일기 (1646~1716)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항의에도 불구하고 영국 왕립 학회는 ‘미분법’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뉴턴이라고
결론
지었어요. 하지만 라이프니츠의 지지자들은 이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박했어요. 이후 100년 동안이나 논쟁이 이어졌지요. 1820년에 이르러서야 라이프니츠와 뉴턴이 미분법을 독자적으로 발견했다고 ... ...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400cm³의 작은 두뇌가 과연 예외적이었는지 또는 새로운 화석종의 특징인지는 아직도
결론
이 나지 않고 있다.수만 년 전 남겨진 흔적은 석기뿐만이 아니다.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에서 발견된 4만 4000년 전의 벽화에는 동물과 함께 반인반수가 그려져 있다. 술라웨시섬 역시 플로레스섬처럼 해수면이 ... ...
제23회 전국학생 통계활용대회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사용했는지 등을 함께 평가해요. 적절한 통계 분석을 이용해 자신이 선택한 주제에 대한
결론
을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죠. 아래 작품처럼 통계청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 홈페이지에서 2020년 대회 수상작들을 참고해 나만의 통계 포스터를 만들어보세요 ... ...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이렇다 보니 데니소바인을 실체가 있는 종으로 봐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아직 확실히
결론
이 나지 않았다. 제대로 된 학명으로 불리지 않고 있는 것이 그 근거다. 이상희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 인류학과 교수는 “데니소바인이 새로운 종인지에 대한 판단은 보류된 상태”라며 “2 ... ...
수학자에게 물었다! 엉덩이는 한 개인가, 두 개인가?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개라고 생각했다고요? 2020년 11월부터 시작된 엉덩이 개수 논란이 5개월 지난 지금까지도
결론
나지 않았습니다. 명확하기로 소문난 수학을 이용해 알쏭달쏭한 이 문제의 답을 찾아볼까요? 논란의 시작은 2020년 11월, 아이돌 그룹 ‘여자친구’가 출연한 영상이었습니다. 한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 ...
[수학게임X파일] 추론 능력이 쑥쑥! 퍼즐 게임 매머드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어떤 점이 수학적 추론을 요구하나요? 추론은 이미 알고 있는 정보로부터 논리적인
결론
을 이끄는 과정이에요. 모든 학문을 연구할 때 필요한 기본 방법이지만 수학에서 특히 중요해요. 그래서 각종 입시 수학 문제에 빠지지 않고 수학적 추론을 요구하는 문제가 등장해요. ‘연속되는 자연수의 합 ... ...
[과학의 달 특집] 무퀴즈 온더 블럭!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수리과학과를 생각하고 있어요. 수학이 현상의 근본을 파헤치고, 그 과정에서 얻은
결론
들이 언젠가는 인간에게 이롭게 쓰인다는 점이 흥미로워요. 현재 코로나19 상황에서 환자들의 수나 앞으로의 추이를 예측하는 데에도 전부 수학이 쓰이잖아요. 과동 : 재익 학생은 어릴 때부터 과학이나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관리체계가 사전에 마련되고 준비된 경우 학교 내 코로나19 전파는 드물게 나타났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논문은 대한소아감염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소아감염 및 백신’ 온라인판 지난해 12월 27일자에 발표됐습니다. doi: 10.14776/piv.2020.27.e23 이 논문은 학교에서 코로나19 확산이 오히려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이 경기를 신성시하는 우리우리스족의 문화는 이
결론
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했다. 곧
결론
에 반대하는 의견이 돌기 시작했다.“우리우리스 게임에는 아무런 규칙이 없다. 비록 우리우리스족 관리팀 사냥꾼들이 와서 칼리토포스를 끌어 냈다고는 하지만, 그것 역시 결국은 고양이가 간접적인 ... ...
[여섯 번째 대멸종] 한 종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와르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대멸종과 대규모의 종이 탄생한 시기가 일치하지 않고, 인과관계도 명확하지 않다는
결론
을 내렸어요. 연구를 이끈 컷 힐 박사는 “대멸종이 새로운 종의 탄생을 부르는 건 아니”라며 “선캄브리아기와 석탄기 시기에는 앞서 대멸종이 일어나지 않았지만 다양한 종이 나타나기도 했다”고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