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사
d라이브러리
"
업무 수행
"(으)로 총 384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제라티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승리였다.사업가들에게는 사이버스페이스가 새로운 사업장이거나
업무
의 효율을 올리기 위한 도구로 인식되지만, 발로같은 운동가들에게 ... 시나리오를 따르거나 새로운 시나리오를 만들어가며 주어진 역할을
수행
하는 이 게임은 그 자체가 완벽한 사이버스페이스다.머드의 또 한가지 특징은 강한 ... ...
비난으로 얼룩진 노벨상 수상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영국과 미국에 빠르게 퍼져나갔다.하버는 독일제국의 전쟁을 지원하는
업무
를 헌신적으로
수행
했다. 하버는 유태인의 피를 이어받았지만 자신이 헌신적인 독일인이라는 점을 자랑스러워하고 자타가 인정했던 애국적인 독일 화학자였다. 베를린에 있는 그의 집 책상 위에는 빌헬름 2세가 직접 ... ...
컴퓨터사이언스 경연장 미래가정 엿보기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모니터가 설치돼 있다. 이 모니터는 공연이나
업무
에 활용될 예정이며, 홀에서는 1백명이 식사할 수 ... 9인치 소형TV와 연결돼 다채로운 기능을
수행
한다. 전화기의 경우 일반전화기 기능 외에 PC, ... 수 있다.주인공은 재택근무 시스템 앞에 앉아
업무
를 처리한다. 전화벨이 울리고 수화기를 들자 ... ...
정보고속도로운행증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기업 입사 후에 별도의 재교육이나 평가없이도
업무
에 활용할 수 있을만한 신뢰성을 갖고 있다. ■ ... 한다. 그동안 기업들은 컴퓨터 도입에 따라
업무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만한 제도적 장치가 부족해 고심해왔다. 이 시험은 대다수의 대기업을 포함하고 있는 한국정보산업연합회 산하 ... ...
실패로 끝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1973년부터 1994년까지 재정 지원은 국방부 산하 국방정부국(DIA)에 의해
수행
됐고, 1995년부터는 중앙정보국으로
업무
가 이관됐다. 지원 액수는 총 2천만달러. 초심리학 연구를
수행
한 기관은 스탠포드 국제연구소(SRI, 1973년-1989년)와 국제과학응용법인(SAIC, 1990-1995)이었으며, 연구내용은 주 ...
재활용 개인 우주선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얼굴이 나타나고 말로 사용자와 대화하며 일을
수행
해나간다 이 '가상의 인간'을 대리자라 한다 ... 활용해 인간 비서보다도 더욱 효율적으로
업무
를
수행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신경세포들 사이에는 5만분의 1mm 정도의 작은 틈이 있다 이 틈에서 신경전달물질이 오가며 정보를 전달한다 신경이 ... ...
Ⅱ. 초과학 연구의 산실 한국정신과학연구소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사단법인으로 등록된 한국정신과학학회와는 성격이 다르다. 학회의 주
업무
는 정기적으로 논문집을 발간하고 정보를 교류하는 일이다(일반회원 7백30명. 연구회원 50명). 이에 비해 연구소는 과학자들이 직접 연구를
수행
하는 곳이다. 현재 이공계 출신의 석박사 출신의 연구원 20명(풀타임 10명, ... ...
백상어 보호 작전 개시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등 '실제로 돈을 주고 받는 행위 외의 모든
업무
'를 인터넷 상에서 처리하는 정식 은행 은행 ... 있는 환경만 된다면 1년3백65일 24시간 내내 은행
업무
를 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아직까지 모든 ... 기업들이 주력하고 있다한마디로 특정기능을
수행
하는 핵심 프로그램을 커널(kernel) 수준에서 리눅스를 ... ...
행성의 이름은 어떻게 짓는가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조직회의 이후 행성과 위성의 명명을 담당해왔다. 이 위원회에게 할당된
업무
는 혼란스럽게 통용되던 당시의 달과 화성 이름을 정리해 체계를 잡는 ... IAU는 행성 명명체계를 확장하고 감독할 임무를 체계적이고도 공평하게
수행
하기 위해서 이 일을 다시 떠맡았다.1970년대에는 1960년대에 있었던 ... ...
3. 2004년 인간 설계도 완성된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심각해진다.유전체연구는 국제협력사업이다. 한 국가가 독자적으로
수행
하기에는 너무도 방대한 사업이다. 그래서 국가간의 유전체연구에 대한
업무
분담, 연구인력 및 기술 교환이 불가피하다. 우리에게는 인간유전체연구가 우리나라 생명과학을 국제화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아닐 수 없다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