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세대학교
연대
연세대학
d라이브러리
"
연세대
"(으)로 총 75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만성통증, 새로운 치료 가능성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국내 연구진이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통증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정은지
연세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시상신경세포가 과하게 활성화되면 이를 억제하는 음이온채널 ‘아녹타민-2 (ANO2)’에 주목했다. 시상신경세포는 뇌 시상하부에서 대뇌피질로 감각 정보를 전달한다. 연구팀은 쥐 ... ...
[Issue] 파리천체물리연구소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은하 연구와 수리우주론의 명가IAP는 파리 중심부 당페르-로슈로 역에서 걸어서 5분거리에 있습니다. 건물은 프랑스의 유명한 천문학자 프랑수아 아라고의 이름을 딴 아라고 대로에 있는데요. 옥상에 천문대 돔이 있어 찾기는 매우 쉽습니다. 건물 안에는 천문학과 천체물리학, 이론물리학을 연구하 ... ...
[과학뉴스] 방사선에 강한 미생물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하지만 이전까지는 어떤 원리로 방사선을 이겨내는지 알지 못했다.한국원자력연구원과
연세대
공동 연구팀은 크립토코쿠스에 방사선을 쏜 뒤, 생성되는 전령RNA(mRNA)의 전사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다른 미생물에는 없고 크립토코쿠스에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BDR1)을 발견했다. BDR1을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비탄성 거동을 보이기 때문이다. 즉 암반을 진동시키지 않고 파괴한다는 뜻이다.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역시 규모 7.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백두산 아래 마그마 방에 압력밥솥 내부와 유사한 120kPa의 압력이 가해져 화산이 폭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사이언티픽 리포트’ 2월 1 ... ...
[Tech & Fun] 직장과 집만 고집하는 당신, 변해야 ‘동안’된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사는 지름길입니다.” 지난 30여 년간 스트레스와 노화페로몬의 관계를 연구한 백융기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의 말이다. 백 교수는 2005년에 예쁜꼬마선충이 주위 환경에서 스트레스를 받게 됐을 때 자신의 유전자를 변형시켜수면기에 접어 드는 방법으로 수명을 7~8배 늘린다는 사실을 2005년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또 돈을 들여 의안을 만드는 방법도 있지만 위조를 방지하는 기술 역시 발전했다. 김재희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은 홍채인식을 할 때 양쪽 눈에 각각 다른 파장의 근적외선을 쏴, 홍채에 반사되는 빛의 밝기가 서로 다른지를 확인한다. 살아있는 사람의 실제 눈에서만 각각 ... ...
[과학뉴스] 뇌신경 말단도 단백질 합성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세포체에서 합성된다고 알려졌다. 그런데 이를 뒤집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정호성
연세대
의대 교수팀은 영국 케임브리지대 크리스틴 홀트 교수팀과 함께 축삭이 자체적으로 말단에 저장된 RNA를 번역해 단백질을 합성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축삭 말단에서 번역되는 RNA만을 표지 및 ... ...
Part 2. 남극,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빙하의 출현 시기와 양을 알아내는 연구는 지금도 진행 중이다.박숭현(shpark314@kopri.re.kr)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대학원에서 중앙해령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 지구및행성과학과 방문연구원을 지냈다. 현재는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아마도 뼛속부터 한국인인 기자의 검사 결과는 역시 뻔했을 것이다. 2005년 신경진
연세대
의대 교수가 한국인 592명의 하플로그룹을 확인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에서 가장 흔한 그룹은 D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Part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별이 활발하게 태어나는 현상이 관측된다.이 딜레마를 어떻게 풀어야 할까. 이석영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는 “별 탄생과 AGN 모두 기체를 ‘식량’으로 하는 활동”이라며 “은하가 생성된 초기에 별이 폭발적으로 만들어지다가 어느 순간 AGN이 켜졌을 수 있다”고 말했다. 거대질량 블랙홀이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