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주민"(으)로 총 300건 검색되었습니다.
-
- 산꼭대기 큰 웅덩이 가마솥 바위과학동아 l2005년 06호
- 모양으로 오목하게 파인 구멍을 지형학 용어로는 ‘나마’(gnamma)라고 한다. 나마는 호주 원주민어의 ‘구멍’에서 유래한 것으로 최근 학술 용어로 정착됐다. 우리말로는 가마솥처럼 생겼다고 해 ‘가마솥 바위’라고 부른다.가마솥 바위는 화강암이 많은 우리나라 전국 곳곳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
-
- "여러분의 꿈을 남극에서 펼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04호
- 공기 성분을 알 수 있지요. 한마디로 남극의 얼음은 지구의 역사책이에요.이런 남극에는 원주민이 없어요. 옛날에는 물개잡이나 탐험가들만 남극을 찾았지요. 그러나 최근 교통수단이 발달하고 남극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남극으로 향하고 있어요. 우리나라도 ... ...
-
-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과학동아 l2005년 03호
- 남단의 마젤란해협을 거쳐 태평양을 건넌 마젤란은 1521년 4월 필리핀의 막탄섬에서 원주민과 전투 중에 죽었다. 물론 마젤란함대에서 살아남은 빅토리아호는 18명의 생존자와 함께 1522년 9월 세비야로 돌아왔다.소마젤란성운도 마젤란처럼 오해의 소지를 안고 있다. 이름에 성운이란 말이 붙지만 ... ...
-
- 칠레 원주민처럼 시련 이겨낸 꼬마 성운과학동아 l2004년 05호
- 하고 있다.망원경 이름 ‘퀘옌’ 은 달 뜻해B68을 관측했던 망원경 VLT 4대 중 1대에는 칠레 원주민인 마푸치 말로 달을 뜻하는 퀘옌(Kueyen)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나머지 망원경의 이름도 안투(Antu), 멜리팔(Melipal), 예푼(Yepun)으로 각각 해, 남십자성, 금성을 뜻하는 마푸치 말이다.마푸치족은 칠레 ... ...
-
- 21세기형 동물원, 생태동물원과학동아 l2004년 04호
- 파괴하는 원인인 벌목 모습과 멸종위기 야생동물을 밀렵하는 모습, 그 속에서 살아가는 원주민들의 생활상을 함께 재현해 놓았다. 2층 교육실에서 고릴라에 관한 교육을 받은 어린이들이 커튼을 젖히면 바로 눈앞에 여러 마리의 고릴라가 노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런 체험을 통해 관람객들이 ... ...
-
- 열대 곤충과 함께한 6일간의 정글 탐험 리포트과학동아 l2004년 03호
- 한 마리가 거미줄을 늘이고 먹이를 기다린다. 몸길이가 족히 7-8cm는 돼 보이는데, 이곳 원주민들은 독거미라며 신기한 듯 열심히 설명한다.정글 속 거머리와의 사투 정글은 습도가 90% 이상이어서 기온이 그다지 높지 않아도 땀이 절로 난다. 이런 중에 가장 힘들게 싸워야하는 것이 바로 거머리다. ... ...
-
- 1백년 뒤에는 언어 절반 멸종과학동아 l2004년 03호
- 있지만 사실은 다룩(Dharuk)어에서 차용한 단어들이다. 다룩어는 시드니 인근에 살던 호주원주민이 쓰던 말로 이미 오래 전에 멸종한 언어다. 다룩어처럼 사용자가 많지 않은 토착어들이 급격히 사라지고 있다. 지난 2월 16일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회의에 참석한 ... ...
-
- 숲이 잉태한 자연과 인간, 숲으로 돌아가다과학동아 l2004년 02호
- 연어가 돌아오지 않고, 연어가 돌아오지 않으면 마을의 행복도 사라진다고 믿었던 원주민들은 생활용구를 만들기 위해 나무를 이용할 때도 3분의 1 이상은 껍질을 벗겨내지 않았다. 지금도 뱀필드 숲에는 일부분만 껍질이 벗겨진 나무들이 군데군데 남아있다.자연과 인간이 하나임을 믿고 나무 ... ...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유럽인과 히말라야산맥 서쪽 아시아인, 동아시아인, 뉴기니인과 멜라네시아인, 아메리카 원주민이 그것이다. 이를 토대로 보면 피부색은 부차적 요인임을 알 수 있다.얼마 전 크레파스의 ‘살색’을 다른 이름으로 바꿔달라는 국내 거주 외국 근로자들의 탄원이 있었다고 한다. 우리들도 알게 ... ...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과학동아 l2003년 12호
- 5.1g 연간 약 2㎏의 고추를 먹는다.고고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기원전 7000년 이미 멕시코 원주민들이 고추를 재배했고 이후 기원전 5000년에서 2500년 사이에 카리브해 지역으로 종자가 전파됐다는 설이 유력하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경로와 시기는 확실치 않지만, 광해군 6년(1614년) 이수광이 저술한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