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나무
천수
수료
흙물
흙탕물
흙탕
이륙
d라이브러리
"
이수
"(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④ 과학교육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과정별로
이수
과목이 다르고, 같은 과정이라도 선택에 따라
이수
과목이 달라진다. 이에 비해 북한은 선택의 여지가 전혀 없는 경직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남한 과학교과서는 교과서 중에서는 호화판이다. 크기도 가장 크고(중학교 과학교과서의 경우 16.7cm×23.6cm로 다른 ... ...
전인미답의 산을 오르는 화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아낀 학과장 노리스의 배려로 1년 반 후에 재입학했다. 그러나 이때에도 정규과정을
이수
한 것이 아니라 시험을 통해 학력을 인정받아 19살에 대학을 졸업했다. 대학원에 진학한 우드워드는 천연물인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의 합성을 주제로 선정하고, 부분합성에 성공함으로써 20세에 박사학위를 ... ...
산과 염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만들어진 암모니아는 화학 비료로 사용돼 인구의 식량생산의 원동력이 됐다.인산
이수
소칼슘(Ca(H₂P${O}_{4}$)₂)과 석고(CaS${O}_{4}$)가 혼합된 과인산 비료는 인회석을 황산(H₂S${O}_{4}$)으로 처리해서 만든다. 질산(HN${O}_{3}$)은 비료, 폭약, 플라스틱의 주요 원료이고, 인산(${H}_{3}$P${O}_{4} ...
첫 조기졸업생 낸 민족사관고등학교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두번째 특징은 외국인 수업이다. 오전수업은 일반고와 마찬가지로 교육부가 지정한
이수
과목을 듣는다. 그러나 오후가 되면 외국인 교사가 진행하는 민족사관고 특유의 영재교육이 시작된다.매일 2시간씩 진행되는 영어수업 중에는 외국영화를 보고 외국인 교사와 영어로 토론하는 것도 포함돼 ... ...
2. 우주생활 24시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각종 장치의 조작교육을 받는데는 일반적으로 수천시간이 든다. 이런 교육을 무사히
이수
해야 우주비행사들은 우주선(또는 우주왕복선)을 타고 우주로 날아오를 수 있다.우주아파트 미르의 생활공간초기의 우주선은 생활공간의 아닌 작업공간의 개념으로 제자됐다. 제미니나 머큐리와 같은 ... ...
1. 현장교사에게 듣는다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대수능)중에서 수리 탐구영역Ⅱ(이하 과학 탐구)는 대학 교육을
이수
하는 데 필요한 탐구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이 기본적인 취지이다. 따라서 단순한 지식 이해나 반복적인 문제해결 방법으로는 통합교과적이고 다양한 상황속에 전개되는 고차원적인 과학탐구 ... ...
사이버 진료시대 개척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실시했다. 그리고 새로 병원에 들어오는 수련의들에게도 필수적으로 멀티미디어 교육을
이수
하도록 했다. 물리적 인프라를 갖추는 것 못지 않게 이를 이용하는 ‘사람’의 중요성을 인식한 것이다. 이 박사는 요즘도 네티즌들이 보내는 질문 내용을 매일 둘러보고 직접 의사들에게 답변지시를 ... ...
3. 한국 경제의 돌파구 벤처기업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KAIST의 교육은 분명 달라지고 있다. 우선 창업학제(창업에 필요한 과목을 신설해 이를
이수
할 경우 학점과 부전공으로 인정하는 제도)등을 도입해 창업에 뜻을 둔 학생에게 도움을 주려고 한다. 또 현장실습 등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거도 검토 중이다." 장호남 학장은 앞으로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 ...
물리- 물레방아 이용한 간
이수
력발전기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밥도 해주고 TV도 보게 해 주는 전기. 우리손으로 직접 전기를 만들어보자. 번개 칠 때 나무밑이 위험한 이유도 생각해보자.전기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이탈리아의 해부학자 갈바니는 철판 위에서 개구리 해부실험을 하다 청동해부침을 꽂은 개구리의 다리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는 것을 보고 ... ...
2. 음극선에서 방사선까지, X선 탄생 드라마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시작했다. 그뒤 쿤트를 따라 슈트라스부르크로 가서 1874년 교수자격과정(Habilitation)을
이수
하고, 그 이듬해 뷔템베르크의 작은 학교에서 교수를 잠시 하다가, 슈트라스부르크 대학을 거쳐 1879년 기센대학 교수가 되었다. 기센대학에서 10여년간 교수로 재직한 그는 1888년 마침내 프리드리히 콜라우시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