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으)로 총 4,291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생전 모습 거의 그대로! 우리나라의 미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식물학자가 함께 연구합니다” 미라를 연구하다 보면 수많은 전문가들이 필요합니다. 저는 병리학●을 전공해 미라의 사인과 미라의 주인이 생전에 앓던 질병 등을 밝혀냈어요. 하지만 미라가 입고 있던 옷에서 실마리를 얻으려고 한다면 조선시대 복식 연구자의 의견이 필요하죠. 또 미라 옆에서 ... ...
- [지구사랑탐사대] 우리 함께 지켜요! 지구사랑탐사대 제11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맡고 계신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이 소리를 들려주자마자 여기저기서 우렁찬 대답이 나왔어요. 우리 주변에 살고 있는 다양한 동식물을 탐사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가 11번째 탐사대원들을 맞았습니다. 4월 15일 서울 노원구 서울여자대학교 대강당에서 ... ...
- [퍼즐마법학교] 당신이 오르비아 공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하더니 부르르 몸서리치며 잠에서 깼어. 용의 파란 눈이 이글거렸지.‘제발, 과일을 먼저 발견해라’ 다행이었어. 그들이 과일을 발견했거든. 용은 몸을 일으켜 과일을 맛있게 먹기 시작했어.‘지금이야.’오르비아 공주가 눈으로 신호를 보냈고, 우리는 조개껍데기로 살금살금 접근했어.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우린 우주인이 되기 위해 특수훈련을 마친 옥톡과 달냥이야. 어느 날, 우주 저 멀리에 있는 외계인으로부터 신호가 왔어. 당장 그들을 만나러 갈 거야! 우린 우주를 떠돌아다니는 여러 탐사선에서 부품을 모아 우주에서 최고로 멋진 우주선을 만들기로 했어. 주노 2011년 발사된 목성 탐사선이에요. ... ...
- DAY2. 아인슈타인의 흔적을 찾아 고등연구소로!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수학 대상에 쓰는 용어도 달랐어요. 만약 두 사람이 소통을 잘했다면 더 좋았을 거예요. 저는 나이가 어린 연구원들과도 많이 교류하려고 해요. 그들한테도 배울 게 너무 많이 있어요.” 프린스턴대와 고등연구소를 짧지만 알차게 보고 돌아왔는데요. 수학자라면 왜 다들 프린스턴에서 연구하길 ... ...
- 공중에서 쏘고 돌팔매질로 날리고 친환경 로켓 발사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지구로 줄을 내리는 방식이다. 즉 아래에서 어마어마한 무게를 버티는 것이 아니라 저 위에서 장력을 견디는 원리다. 문제는 길이 36,000km가 넘는 거대한 구조물의 장력을 버티는 재료로 현재까지 고순도 탄소 나노 튜브가 유일하다는 점이다. 이런 고순도 탄소 재료를 우주 엘리베이터에 사용할 ... ...
- [최신이슈] '제로 슈가’ 전성시대 대체 감미료, 직접 먹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그러나 그 미세한 차이로 인해 몸에서 분해되지 않으며, 열량을 내지 않는다. 그로 인해 저열량 감미료로 쓰이기 적합하다. 이렇게 만들어진 탄수화물 기반 감미료는 쓴맛이 없고 설탕과 비슷한 맛을 낸다는 장점이 있다. 정 교수는 “최근 트렌드는 천연 감미료”라며, “천연 감미료는 합성 ... ...
- [인터뷰] 양자내성암호를 우리의 삶으로 이끄는 수학자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을 만났어요. 그는 암호를 연구하지만 격자 기반 알고리즘을 연구하지 않는 사람이었고, 저는 암호는 연구하지 않지만 격자 기반 알고리즘을 연구하는 사람이었죠. 당시 격자 기반의 암호화가 한창 연구되던 시기였고 우리의 만남은 큰 시너지 효과를 발휘했어요. 그와 함께 쓴 논문이 14편 정도 되죠 ... ...
- [과동키즈] "과학의 미래까지 생각해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여러 경험을 거쳐 ICT와 지식관리라는 분야에 정착한 이야기로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과학의 의의를 더 정확히 알기 위해 과학사와 철학에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왔습니다. 역사적으로 과학혁명은 지식혁명으로도 볼 수 있는데, 사실 과학혁명 전에도 인류는 여러 지식혁명을 경험했습니다. ...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쓴맛, 신맛, 매운맛까지! 그물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특징은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버섯을 구분하기 위해 그물버섯류의 사진을 찍을 때, 저는 항상 관공 부위에 X자를 그린 뒤 찍어요. 그 이유는 색이 변하는 버섯들이 종종 있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는 ‘밤꽃그물버섯’이 있죠. 이 버섯은 밤꽃처럼 관공이 짙은 붉은색을 띠고 있지만, 상처가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