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은"(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재가 행복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똑똑해서 유명했던 아이가 자라 성공을 했고, 심지어 행복하다고 말한다. 단도직입적으로 물었다.“똑똑한 아이가 행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타고난 재능이 아닌 노력에 박수를 보내주세요” Q. 교수님은 초등학생 때 고등학교 수업을 들었을 만큼 나이보다 앞선 교육을 받았습니다. ... ...
- [수학 상위 1% 비밀 무기] 중1 때 을 독학한 비법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중학교 1학년 때 고등학교 전 과정을 독학으로 뗀 학생이 있어요.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인과영) 3학년에 재학 중인 윤성근 학생입니다. 그전에 경시대회 준비를 한 적도, 학원에 다닌 적도 없다고 하는데요. 혼자 수학을 공부해서 영재학교에서 상위권 성적을 받는 비법을 지금 공 ... ...
- [커리어]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모자까지 단단히 중무장한 차림새였다. 실험실 앞까지 동행한 남 연구단장이 “우리의 적은 습도와 먼지”라고 한 말이 귓가에 맴돌았다. 공기 중에 떠 있는 수증기나 먼지는 레이저가 진행하는 데 방해가 된다. 이 때문에 실험실에 들어가기 전에 에어샤워를 거쳐 혹시나 몸에 붙어있을 먼지를 ... ...
- [메타버스 여행법] 제페토, 아바타를 아이돌처럼 커스텀 해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오하~! 제페토에서 아이돌 멤버나 할리우드 배우와 똑같이 커스텀을 한 아바타를 보고 신기해한 적 없나요?오늘은 제페토 크리에이터이자 커스텀 멘토인 ‘이다’(@hi.ida)와 함께 내가 아는 유명인과 똑같이 아바타를 커스텀 하는 방법을 배워 볼게요. 멘토 ‘이다’가 알려주는 유명인 커스텀! ... ...
- [Reth?nking] 미적분은 어떻게 꽃피웠는가?수학동아 l2023년 10호
- (0, 0)부터 (3, 9)까지의 영역과 x축이 이루는 면적은 어떻게 구할까요? 구하려는 면적은 그래프 위의 (0, 0)과 (3, 9), (3, 0), (0, 9)를 꼭짓점으로 가지는 직사각형(초록색 점선)의 넓이보다는 작아요. 이렇게 사각형 하나로 넓이를 근사하면 실제 넓이와 차이가 많이 나요. x가 1 간격인 여러 개의 직사각형 ...
- [최신이슈] 과학은 가끔 혼돈의 카오스 위를 굴러야 한다, 트라젝토이드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에서 개발한 트라젝토이드의 모습. 트라젝토이드는 주어진 곡선 위를 따라 구르도록 설계된 물체다. 노랑, 파랑, 보라알록달록한 물체들이 삐뚤빼뚤한 경로를 따라 굴러갑니다. 어린이 장난감처럼 보이는 이 물체의 이름은 ‘트라젝토이드(Trajectoid)’. ... ...
- [SF소설] 완벽한 돌봄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끼잉, 하는 소리에 번쩍 눈을 떴다. 깜빡 낮잠에라도 빠졌던 걸까?소파에서 몸을 일으키고는 옆에 놓인 생수병을 들어 물을 마셨다. 덕구가 발치에 깔린 러그에서 기지개를 켜고 있었다. 덕구는 나의 반려견이다. 어미개와 함께 보호소에 버려졌던 녀석을 데려온 게 벌써 십 년 전이니, 우리는 함께 ... ...
- 천재가 예측하는 미래수학동아 l2023년 10호
- 타오 교수는 자신의 블로그와 SNS에 글을 올리면 빠르게 기사화될 정도로 유명한 ‘인플루언서’다. 이곳에 새로운 논문과 연구에 관한 이야기뿐 아니라 통찰력을 주는 글을 자주 올리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의 미래를 구상하는 대통령과학기술자문위원회 연구그룹 의장으로 위촉됐을 정도로 정계, ... ...
- [Data Math] 뚫을 테면 뚫어 봐! 삼성전자 반도체 보안을 책임진다!수학동아 l2023년 10호
- 휴대기기 속 사진이나 사람들과 나눈 메시지를 보지 못하도록 패턴이나 비밀번호를 걸고 있나요? 휴대전화 비밀번호를 연속해 5번을 틀리면 30초 동안 기다리라는 보안 경고 메시지가 뜨는데요. 누군가가 내 개인 정보를 보지 못하도록 하는 이 장치에 ‘수학적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그리고 ... ...
- [빅잼] 영화 ‘크리에이터’ 스스로 생각하는 AI는 인간적인가, 인간의 적인가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사람처럼 답하는 ‘챗GPT’가 등장한 이후 인공지능(AI)의 성능이 ‘퀀텀 점프’한 것이 실감난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절대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강인공지능’이나 AI의 자율성이 가능해지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는데요. 이 시점에 개봉하는 영화 ‘크리에이터’는 만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