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결의 배열
선
선조
가는 홈
색대
d라이브러리
"
줄무늬
"(으)로 총 30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로봇 움직이는 나노발전기의 힘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혈당 수치는 정상”이라는 내용의 문자가 뜬다. 몸속 혈당센서에서 온 메시지다.금빛
줄무늬
가 돋보이는 재킷을 입고 기분 좋게 공원으로 산책을 나선다. 성큼성큼 힘차게 걷자 옷에 연결돼 있던 MP3 플레이어가 켜지면서 발걸음에 맞춰 경쾌한 음악이 귓가에 흐른다. 어릴 적 열병을 앓아 청력이 ... ...
나노입자로 암 치료하는 세상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연필 모양이나 성게 모양처럼 복잡한 모양도 많다. 도토리 모양, 올챙이 모양, 그리고
줄무늬
까지 새긴 애벌레 모양의 나노입자들을 보면 과학을 넘어 예술의 경지까지 이르렀다는 생각이 든다.그러나 아무 의미 없이 아름답게 보이라고 나노입자를 여러 모양으로 만드는 것은 아니다. 현 교수는 ... ...
“박테리아 모기 박멸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냈어요. 바로 ‘볼바키아’라는 박테리아를 이용한 거예요! 뎅기열을 감염시키는 열대
줄무늬
모기에 이 박테리아를 감염시키는 실험을 여러 세대에 걸쳐 실시한 결과, 모기의 수명이 원래 60일에서 절반인 30일로 줄어든다는 사실을 알아 냈답니다. 너~무 잔인한 방법이라고 생각해요!잠깐만요.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먹이사슬의 최정상에 자리하면서 늑대와 비슷한 형태로 진화한 것이죠. 등에 있는
줄무늬
때문에 호랑이로 불리지만 사실 해부학적으로는 개과 동물과 매우 비슷합니다.호주대륙에 번성하던 이 녀석들은 유럽인들이 도착한 뒤 몰락의 길을 걷다가 1936년 마지막 남은 수컷 한 마리가 동물원에서 ... ...
2009년 기축년(己丑年), 소를 생각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편이지만 몸이 튼튼하고 성질이 온순하다. 한우하면 누렁이(황소)를 생각하지만 검은
줄무늬
가 있는 칡소와 털이 검은 흑소도 있다. 한우 고유의 유전적 변이가 있기 때문에 DNA 검사로 한우를 식별할 수 있다.온실가스 배출 18%는 소 사육 결과 기계농업이 도입되기 전 소 한 마리는 장정 몇 사람 몫을 ... ...
호랑이의 왕, 백호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한 권씩 늘어 벌써 백 권 째가 된것처럼 말이죠. 푸른 눈에 흰 털, 초콜릿색의
줄무늬
를 가진 희귀한 백호 모한의 후손들이 세계 곳곳으로 퍼진 거예요.희귀한 백호는 어떻게 태어나지요?오해하지 마세요. 백호는 몸에 색소가 없어 흰색인‘알비노증’이아니랍니다. 우린 돌연변이에 해당하지요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있었다. 19세기에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지오바니 스키아파렐리가 화성 표면에서 관측한‘
줄무늬
’를 잘못 이해한 미국의 퍼시발 로웰은 화성에 ‘운하’가 있다고 주장했다. 로웰 외에도 화성에 생명체가 있다고 생각한 사람은 많았다. 20세기 초의 전기기술자이자 발명가인 니콜라 테슬라도 ... ...
“어흥~!”토성 위성의 호랑이
줄무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카시니가 시속 6만 4000㎞로 엔셀라두스를 근접 비행하면 서 찍은 것으로, 호랑이
줄무늬
처럼 보이는 좁고 긴 협곡이 잘 드러나 있어요. 과학자들은 엔셀라두스의 땅 속에 있던 따뜻한 수증기가 제트처럼 분출하며 깊이가 300m에 이르는 이 협곡을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답니다 ... ...
이슬람 사원 장식에 숨어 있는 수학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주기적인 타일링을 만들 수 있다. 그런데 타일에
줄무늬
패턴을 만들어 타일을 붙일 때
줄무늬
가 서로 연결돼야 한다는 조건을 주면 주기적 타일링을 만들 수 없다(그림2).연 5개로 만든 ‘태양’을 출발점으로 만든 패턴과 다트 5개로 만든 ‘별’을 출발점으로 한 타일링을 보자(그림3). 태양이나 ... ...
노래 가사 태반이 사랑 타령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fMRI)으로 기분 좋은 음악을 들었을 때 뇌의 활동을 정밀 조사했다. 그 결과 복측
줄무늬
체에 있는 중격의지핵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뇌의 보상센터라고 알려진 중격의지핵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분비하는데 도파민은 뇌의 쾌락과 보상 체계와 관련돼 있다. 마약이나 도박, 섹스 등에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