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재"(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기고] 수학적 사고력 고루 평가하는 수능 되길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해석, 기하, 확률과 통계 각각의 영역에서 발현되는 수학적 사고가 다르거든요. 그런데 현재까지 발표된 수능 체제 개편안에는 대수, 미적분1, 확률과 통계만 포함되어 있고 기하 영역이 빠져있어요. 공간에 대한 이해와 그 안에서의 도형, 위치, 크기, 방향 등의 관계를 탐구하는 기하는 현대 과학 ... ...
- 기후위기 막고, 수학사 다시 보고 인류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시작합니다. 내년에 지원할 팀을 선정하기 위해 올 상반기 1차 제안서를 받았고, 현재 2차 제안서를 받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기획한 사람은 우리나라 수학자인 김민형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교수입니다. 2021년 ICMS 소장으로 부임해 수학의 쓸모를 알리고 국가 간의 수학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 ...
- 1차 프로젝트 엿보기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주관하는 고대 및 중세 수학사 여름학교에서는 2주 동안 중국어나 라틴어뿐만 아니라 현재 사용하지 않는 설형 문자나 산스크리트어까지 다양한 언어와 그 언어와 연관된 수학사를 탐구해요. 더불어 수학사를 연구하는 젊은 연구자를 육성하기 위해 이 워크숍의 강의 내용을 정리한 책도 출간할 ... ...
- [러셀 탐구생활] 제11장. 언제나 옳은 사상은 없다수학동아 l2023년 11호
- 0이면 불가능하다’와 같이 아주 당연해보이는 명제조차 거짓이라면, 과연 내가 현재 가지고 있는 믿음은 얼마나 견고할까요? 어쩌면 여기에는 ‘페미니스트’라는 단어를 들으면 치가 떨리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죠. 반대로 진보나 페미니즘 운동은 언제나 정의롭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 ...
- [과학뉴스] 시조새만 조류의 조상일까? 롱다리 조류 공룡, 푸젠베나토르 발견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독일 졸른호펜 채석장에서 처음 1억 5000만 년 전 쥐라기의 시조새 화석이 발견된 이후로 현재까지 조류의 조상은 시조새로 여겨졌다. 수각류 공룡에서 진화한 시조새를 시작으로 현대의 조류가 진화했다는 것이다. 몇몇 시조새 화석을 제외하면 초기 조류 화석은 거의 발견되지 않아 조류 진화를 ...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후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캐나다 국립연구회 및 오타와대 연구위원을 거쳐 현재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과 GIST 물리광과학과의 아토초 과학 연구실에서 연구를 하고 있다. kyungtaec@gist.ac ...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더 복잡하다”는 답이 돌아왔다.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는 정보량에는 한계가 있어요. 현재 서울시에 있는 23개 노선에 모두 패턴을 부여하고, 이 패턴을 모두 구분하기란 어렵죠.”그래서 명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택했다. 명도를 조절하면 색약자는 색이 비슷해도 색의 밝기 차로 노선을 구분할 수 ... ...
- [2039:화성 일 년 살기] 화성에서도 한국인은 김치를 담근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용하는 토경재배 방식을 택했다. 흙에서 식물을 키우는 건 기후 위기가 심각해진 2039년 현재 지구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워진 방식이다. 대부분 기후변화의 영향을 덜 받도록 건물 안에서 수경재배로 식물을 키우니까. 그래도 물보단 흙을 얻기가 더 쉬운 화성에서는 오히려 수준에 맞는 좋은 ...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과학고등학교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배우며 자신의 적성을 찾고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바꿔 말하면 현재는 교과의 모든 단원이 의미 있습니다. 특정한 단원보다는 전체 교육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문제를 해결하는 자세를 익혔으면 합니다.특히 기억에 남는 수업은 학생들과 함께 호흡하며 ... ...
- [포토뉴스] 세상에서 가장 큰 꽃 라플레시아 멸종 위기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서식지의 67%가 파괴돼 종 전체에 심각한 멸종위기를 가져왔다. 연구팀은 “그럼에도 현재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멸종위기종 적색목록에는 한 종의 라플레시아(Rafflesia mira)만 등록돼 있어 라플레시아의 위급한 상황이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IUCN 분류 기준에 따르면 25종은 ‘위급(CR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