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재
존재
현재
현실
기존
생존
실존
d라이브러리
"
현존
"(으)로 총 329건 검색되었습니다.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학과의 유망성에 초점을 맞춰줄 것을 당부했다. 가장 존경하는 과학자로는 아인슈타인,
현존
한국과학자로는 황우석 서울대 교수를 들어 황우석 신드롬이 과학기술계에도 몰아치고 있음을 실감하게 했다. 청소년에게 추천하는 과학책으로 외국도서로는 코스모스, 한국도서로는 과학동아를 가장 ... ...
스파이더맨은 유리벽을 탈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흐흐흐, 가진 거 다 내놓으시지.”으슥한 골목길, 불량배 두 명이 행인을 괴롭히고 있어요. 아무도 없을 거라고 안심하며 나쁜 짓을 하고 있는 불량배 ... 수 있을 정도의 접착력을 가진 미세한 털들이 달려 있거든요. 그 발바닥 덕분에 도마뱀은
현존
하는 지상 최고의 벽타기 명수랍니다 ... ...
의자로 본 디자인 변천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마르셀 브로이어는 자전거를 보고 강철 파이프를 구부려 만든 의자를 착안했다.
현존
하는 수많은 의자들의 원형이 된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파이미오1930~1931년, 자작나무쿠션없이 딱딱한 의자가 오히려 편안하다는 컨셉으로 핀란드의 건축학자이자 가구 디자이너인 알바 알토가 디자인했다.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있다. 남은 일은 먹이를 ‘후루룩’ 빨아먹는 일뿐.인간보다 훨씬 전에 출현한 곤충은
현존
생물 중 가장 많은 종을 차지한다. 무척추동물을 포함해 추정되는 곤충만 해도 1백만종에 이른다. 개체가 작고 세대가 짧은 곤충은 지금도 뛰어난 환경적응력으로 세계 도처에 광범위하게 분포해 있다. 1992년 ... ...
첨단 음향 기술과 현대 건축이 되살린 한국의 소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빈에 소재한 ‘무지크페어아인잘’(Musikvereinssaal)은 서양건축음향 이론을 가장 잘 따른
현존
최고의 음악당으로 극찬을 받는다. 이 음악당은 객석에서의 잔향시간이 약 2.0초에 달하는 직사각의 박스형 건축물이다.최근까지 국내 음악 공연장들은 이런 서양음악 기준에 맞춰 지었다. 심지어 기존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때문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세종대왕 시대에 만든 편경은 오늘날 전해지지 않으며
현존
하는 3대의 편경은 성종 이후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편경이 아악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중요했기 때문에 조선초 문물을 정비했던 세종대왕은 국가사업으로 편경을 제작했다. 그전까지는 중국에서 수입한 ... ...
4배 빠른 차세대 초고속 D램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범용 램버스 D램 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4배 빠르다. 또 DDR 400제품보다는 8배나 빨라
현존
하는 D램 제품 중 최고 속도를 자랑한다. 이는 3백쪽 단행본 기준으로 칩 1개가 1초에 1만권 분량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꿔 말하면 메모리칩 4개만으로 일반 PC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 ...
미래에너지 수소 생산에 원자력이 돌파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원자로를 HTGR(HighTemperature Gas-cooled Reactor)이라고 한다.가스식 원자로는 안전성에서도
현존
하는 원자로보다 훨씬 탁월하다고 노 교수는 강조한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가장 심각한 사고는 냉각재의 물이 유출되는 냉각재상실사고다. 냉각재가 사라지면 핵반응로에서 핵분열로 생기는 열이 ... ...
가장 오래된 수컷 화석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뜻의 그리스어인 '콜림보사톤 에크플렉티코스’로 명명된 이 해양생물은 몸길이 0.5cm로
현존
갑각류와 유사하다(아래). 연구팀은 화석이 들어있는 암석을 얇게 잘라 촬영한 다음, 컴퓨터로 분석해 암석 안에 들어있던 몸 단면들을 재구성해냈다 ... ...
로켓개발 용쟁호투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개발에 성공했다. 행성간 탐사선을 발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1997년부터는
현존
하는 세계최대의 단일 고체추진제 우주발사체인 M로켓의 결정판 M-V를 개발, 1998년에는 일본 최초의 화성탐사선을 발사하는 업적을 이뤘다.하지만 일찍이 고체연료로켓의 한계를 알고 있던 일본은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