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느낌
감촉
센스
인지
직감
지각
감응
뉴스
"
감각
"(으)로 총 1,138건 검색되었습니다.
폼페이 화산재에 묻힌 고문서, AI가 해독
동아사이언스
l
2024.02.06
추정되는 곳이다. 두루마리에는 당시 사람들이 즐기던 '유쾌한 맛'과 '볼거리' 등
감각
에서 비롯되는 쾌락의 원천을 찾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플루트 연주자로 추정되는 인물 '제노판투스'도 등장했다. 고대 로마 제국의 스토아학파 철학자로 유명한 세네카와, 플라톤주의 철학자이자 ... ...
두개골 안 뚫고 파킨슨병 완화…자기장 치료법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기반 DBS 기술을 적용하자 뇌 영역인 시상하핵 신경세포가 10배 이상 활성화됐다. 균형
감각
과 운동성은 2배 이상 향상돼 정상에 가까운 운동 능력을 보였다. 2주간 매일 반복해서 자극을 받은 파킨슨 쥐는 자극을 중단한 24시간 후에도 회복된 운동 능력의 35%가 유지됐다. 천 단장은 “나노 ... ...
불빛에 곤충이 모이는 이유는…"곤충
감각
에 혼란 유발한 탓"
연합뉴스
l
2024.01.31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곤충이 불을 향해 날아드는 것이 아니라 인공조명이 곤충의
감각
에 혼란을 일으켜 광원 주위를 맴도는 것과 같은 비정상적 행동을 일으키는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ICL) 새뮤얼 파비안 박사와 미국 플로리다 국제대 야시 손디 박사팀은 31일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정 KAIST 교수…로봇 피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개발해 인간과 로봇이 같은 공간에서 공존할 수 있는 필수 기술을 마련하고 인간의 피부
감각
과 촉각 성능을 구현했다”며 “앞으로 인간형 로봇의 외피에 적용할 수 있는 로봇 피부 및 촉각 기술 개발에 더욱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 ...
인간의 이족 보행 단서는 '반고리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1.30
반원 모양의 관인 반고리관은 몸을 움직이면 관 안의 림프가 움직이면서 위치나 균형
감각
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인간이 직립 상태에서 이동하는 데 기본적으로 관여하는 부위다. 연구팀은 루펑피테쿠스의 반고리관 영역을 이해하기 위해 3차원 스캔 기술을 이용해 두개골을 재구성했다. ... ...
손 글씨, 타이핑보다 기억력 향상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촉진하는 뇌 연결 패턴을 광범위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더 많은
감각
을 동원한 활동일수록 뇌의 활성도를 더욱 높인다는 것이다. 손가락으로 키보드를 반복적으로 누르는 단순한 움직임은 뇌에 가하는 자극이 크지 않다고 보았다. 연구팀은 “태블릿PC로 글을 쓰고 읽는 ... ...
인간 의식의 기원 찾는 과학자들...두번째 결론 곧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의식의 발원지를 찾기 위한 또 다른 이론들에 대한 검증작업도 이뤄지고 있다. 의식이란
감각
에 의해 지각된 것을 고차원적인 관점에서 해석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는 고차이론(HOT·Higher-order theories)과 의식이 정보에 대한 반응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는 반복처리이론(RPT·Recurrent processing ... ...
망막 질환 진행 속도 늦추는 항염증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1
일어나는 65세 이상 노인 실명 원인 1위 질환이다. 망막색소변성은 망막 주변에서 광
감각
세포의 변화가 일어나는 유전적인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4000명 중 1명꼴로 발병하며 결국 시력을 잃게 된다. 두 질환 모두 현재 완치가 불가능하며 항염증제를 안구 내에 주사해 망막 손상의 진행 속도를 ... ...
[과기원NOW] GIST, 대한통증기전연구회 동계워크숍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7
지난 2023년 국가 과학 난제 도전 융합 연구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GIST에 개소했다. 통증,
감각
신경 이상을 포함한 신경전달 경로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 ...
내시경으로 빛 쬐어 당뇨·비만 개선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위 폐쇄, 영양실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광역동치료는 빛에 반응하는 광과민제(광
감각
제)에 특정 파장의 빛을 조사해 주변 세포를 사멸하는 방법이다. 연구팀은 광역동치료가 비만, 당뇨 등 대사질환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지 살피기 위해 당뇨병이 있는 실험쥐의 십이지장에 분포한 K세포를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