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멧줄기
산줄기
연산
산
산지
뉴스
"
산맥
"(으)로 총 300건 검색되었습니다.
차광렬 차병원그룹 글로벌종합연구소장 유럽·미국생식의학회 공동학회 기조강연
동아사이언스
l
2019.03.15
줄기세포’라는 제목으로 기조강연을 했다. 이 행사는 전세계 생식의학분야의 양대
산맥
으로 꼽히는 유럽생식의학회와 미국생식의학회가 2014년부터 공동으로 개최하는 학술대회다. 차광렬 연구소장은 혁혁한 연구성과와 인재양성 노력 등 생식의학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이날 기조강연에 ... ...
[의학게시판]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어깨질환 무료 강좌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3.15
줄기세포’라는 제목으로 기조강연을 했다. 이 행사는 전세계 생식의학분야의 양대
산맥
으로 꼽히는 유럽생식의학회와 미국생식의학회가 2014년부터 공동으로 개최하는 학술대회다. 차 연구소장은 이날 강연에서 배아 발생부터 성체에 이르기까지 생식기관에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줄기세포를 ... ...
‘미지의 친척인류’ 데니소바인 두개골 파편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화석이 매우 드물어서 지금까지 5개체에서 총 5개 화석만이 발견돼 있다. 모두 알타이
산맥
부근의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 동굴 ‘데니소바’에서 나왔으며, 여러 연대 추정 및 게놈 해독 연구 결과 대략 30만~5만 년 전 사이에 시베리아를 중시으로 한 유라시아 대륙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 ...
[애니멀리포트] 동물 축제, 이대로 괜찮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2.17
산천어입니다. 산천어 축제로 유명한 화천은 정작 영동 지방이 아닙니다. 화천은 태백
산맥
의 서쪽에 해당하는 영서 지방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원래 이 지역 하천에는 산천어가 살지 않습니다. 단지 1년에 한 번, 축제를 열기 위해 화천군이 화천천에 양식 산천어를 가둬두는 겁니다. 그런데 매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 이길 '감자 2.0'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차세대 감자 품종을 개발한다는 목표다. 이른바 '감자 2.0'이다. 브라질은 안데스
산맥
의 주요 감자 재배지와는 사실 거리가 멀다. 하지만 야생종은 브라질 남부 히우그란지두술주까지 뻗어 있다. 하이든 연구원은 “겨울은 혹독하게 춥고 여름은 덥고 건조한 이 지역에서 자란 야생 감자는 이 같은 ... ...
“10만 년 전 러시아 동굴, 두 인류 공존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시료를 채취하는 모습이다. -사진 제공 옥스퍼드대 약 10만 년 전, 험준한 러시아 알타이
산맥
의 한 산등성이에 자리한 동굴 풍경은 오늘날의 국제회의장 못지않게 다양하고 역동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로 다른 종으로 분류되는 둘 이상의 인류가 공존하며 각기 문화와 예술을 꽃피웠는 사실이 ... ...
남극해에서 ‘솟아오르는 맨틀’ 발견…‘맨틀 표준모형’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탐사한 아라온 호의 관측 결과를 이용했다. 중앙해령은 깊은 바닷속에 존재하는 해저
산맥
(해령)인데, 남극의 중앙해령은 세계 전체 바다의 중앙해령 중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크다. 극지연구소 연구팀은 남극 중앙해령 가운데에서도 남극과 호주 동부 및 뉴질랜드 사이에 위치한 ‘호주-남극 ... ...
[표지로 읽는 과학] 안데스
산맥
은 어떻게 지구상 가장 긴
산맥
이 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판과 하부 맨틀 사이의 상호작용 결과인 만큼 이런 상호작용이 앞으로도 지속된다면
산맥
이 더 높아지거나 더 길어질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
[2019 과학 전망]3개월 연속 슈퍼문,금세기 14번만 볼 수 있는 수성 태양면 통과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개기일식을 눈으로 볼 수 있다. 칠레와 아르헨티나를 관통하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에서 개기일식이 발생한다. 지구와 꽤 먼 거리에서 이 개기일식이 발생하기 때문에 세계 여러 관측소에서도 관찰 가능하다. 슈퍼문은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워졌을때 나타나는 크고 밝은 보름달이다. ... ...
과학 연구의 최전선을 담은 올해 최고의 사진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않아, 성장한 뒤에도 자주 병을 앓을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 캐나다 로키
산맥
에 속한 쿠트니국립공원의 계곡에서 셰일 암석층을 드릴로 자르고 있는 진 버나드 카론 왕립온타리오박물관(ROM) 큐레이터(학예사)의 모습이다. 이 셰일 암석층에서는 캄브리아기에 생성된 것으로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